부산장신대 > 대학원 > 일반대학원 신학과 > 교과목해설

교과목해설

일반대학원 신학과 교과목해설 안내입니다.

구약학

히브리어 구문론(Hebrew Syntax)
히브리어 구문 연구를 통해 구약원전 이해를 심화시키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약주석방법론(Old Testament Exegesis)
구약원전을 주석하는 방법을 통시비평과 공시비평으로 나누어 공부한 후 본문을 직접 주석해 본다.
구약해석학(Old Testament Hermeneutics)
구약성서를 역사적으로 어떻게 해석해 왔는가를 배우고 저명한 구약학자들에 대해 공부한다.
구약학 세미나(Seminar on the Old Testament Studies)
학계의 주요 신학 동향과 이슈들을 배운다.
구약원전(Hebrew Reading)
원전을 읽어가며 히브리어 문법과 구문을 완성한다. 산문으로 된 본문과 운문으로 된 본문을 반씩 읽는다.
성서아람어(Biblical Aramaic)
성서아람어로 일부 쓰여진 에스라서와 다니엘서를 읽어가며 성서아람어 문법을 익힌다.
칠십인경연구(A Study of the Septuagint)
헬라어로 쓰여진 칠십인경의 역사와 특성들을 배우고 칠십인경을 일부 강독한다.
고대근동문선 연구(고대근동언어특강)(A Study of the ANE Documents)
최근 이스라엘 주변세계에서 많은 고대 자료들이 발굴되어 왔다. 발굴된 고고학 자료들에 대해 공부하면서 구약학 연구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확인해 본다.
역사서 세미나(Seminar on the Historical Writings)
신명기적 역사서와 과거에 역대기적 역사서로 불렸던 책들에 관한 최근의 연구경향을 알아보고 이 주제와 관련된 소논문을 작성한다.
구약학자 연구 구약학 고전(古典) 읽기(Reading Masterpiece on the OT)
구약학에 큰 족적을 남긴 명저들을 읽으며 구약학의 핵심 논점들을 배운다.
성문서 세미나(Reading the Writings)
구약성서의 세 번째 부분에 속하는 ‘성문서’는 시와 노래, 지혜문학과 역사 서술, 그리고 묵시문학 등 여러 문학유형에 해당하는 책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과목은 무엇보다 성문서를 함께 읽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내용과 메시지에 익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성문서를 읽으며 접하게 되는 관련된 학문적 이슈들도 접해 본다.
시편 세미나(Seminar on the Psalms)
시편의 전체적인 이해와 문학적인 구조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운문체의 특징을 이해하고 다른 고대 근동 문헌들과의 비료를 통해 문학적 기법을 비교 연구한다.
이스라엘과 유대의 역사(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이스라엘과 유다의 역사를 고대시대부터 현대 이스라엘까지 배우되, 성경의 역사(Bible History)의 관점이 아니라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이스라엘 역사를 추적해 본다.
신약인용 본문연구(A Study of Texts Cited by the NT)
신약성경에 인용된 구약말씀들을 헬라어와 히브리어 원전을 통해 비교해 보고, 인용 원칙과 목적을 파악해 본다.
구약성경 본문비평(Textual Criticism of the OT)
구약성경의 원본이 없는 상황에서 각 사본들과 역본들을 통해 어떻게 원본에 가깝게 재구성할 수 있는지를 본문비평 실습을 통해 훈련한다.
지혜문학 세미나(Seminar on Wisdom Literature)
욥기, 잠언, 전도서와 같은 지혜문학을 읽어가며 관련된 학문적 이슈를 접하고 읽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신약학

역사적 예수 세미나(Historical Jesus Seminar)
역사적 예수에 대한 다양한 접근의 연구의 역사를 비판적 시각에서 살핀 후에 본문에 대한 구체적인 석의적 작업을 통해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역사적 예수 연구의 의의 및 방향성을 새롭게 조망할 것이라 기대한다.
예수의 비유 세미나(Parables of Jesus)
공관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가르침의 3분의 1이상이 비유의 형태를 가질 만큼 비유는 중요성을 갖는다. 예수의 비유에 대한 문학적, 신학적, 역사적, 사회문화적 연구를 통해 복음서 기자들과 초대 교회의 삶의 자리를 발견한다.
Q 세미나(Q Seminar)
예수어록(Q)의 연구의 역사와 더불어 구체적인 석의적 작업을 통해 예수 첫 공동체의 삶의 자리와 시대 정황을 파악하여 초기 그리스도교 역사를 유대교와의 관련 하에 새롭게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복음서와 역사적 예수 연구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로서 그리스교 역사를 연구하는 필수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누가문서연구(The Study of Lukan Document)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은 한 저자에 의해서 기록된 가장 방대한 신약의 문서들이다. 팔레스타인 예수 운동에서부터 시작하여 예루살렘을 거쳐서 로마제국 전 지역에 복음이 전파되는 과정을 담고 있는 누가문서에 대하여 역사적, 문학적, 신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 풍부한 연구사를 고찰하며 누가문서를 새롭게 읽고 연구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이다.
요한복음 세미나(The Gospel of John in Greek Seminar)
요한복음을 헬라어로 읽는다. 요한복음의 최근 연구 경향 및 그것의 목적, 배경, 신학적인 모티브, 진정성 등 개론적인 사항들을 개관하고 본문을 석의하며 그 신학적인 의미를 밝힌다. 각 본문에 대한 석의적 작업은 요한복음의 독특한 신학적 메시지를 던져줄 것이며 그러한 신학적 작업은 본문이해와 그에 따르는 번역에 대한 새로운 눈을 열어줄 것이다.
마가복음 세미나
마가복음의 구조와 그 신학적 관점을 통해 마가공동체의 사회적 정황과 초기 그리스도교 교회의 예수에 대한 전승을 살핀다. 마가와 Q의 관계 및 초기 그리스도교 문서와 역사에 미친 마가복음의 영향사적 발자취를 살핀다.
공관복음 세미나
유사성과 다양성을 가진 마태, 마가, 누가복음의 저술 배경과 신학적 강조점을 본문 상으로 대조 비교 연구하여 그 차이점과 독특성을 발견하고 각 성서기자의 편집 의도와 공동체의 삶의 정황을 토대로 예수의 공생애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데살로니가 전후서 세미나
최초의 기독교문서인 데살로니가전서의 역사적 정황과 수사학적 구조를 통해 데살로니가전서의 신학과 그 메시지를 파악한다. 데살로니가전서와 데살로니가후서와의 상관성은 초기그리스도교 역사의 발전과 그 시대적 정황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로마서 세미나(The Epistle to the Romans Seminar)
로마서 석의와 문맥을 통한 연구를 통하여 복음적인 진리를 찾으며 많은 신학자들이 본서에 깊이 관심을 갖게 된 이유와 그 내용을 비교 연구한다.
고린도전서 세미나(1 Corinthians Seminar)
바울 서신 중 가장 현장성을 가진 편지라 할 수 있는 고린도전서의 각 장의 사회문화적, 언어학적 그리고 종교적 배경과 문맥에 따른 메시지와 신학을 분석하고 오늘날의 상황에서 그 의미를 조명한다.
히브리서 세미나(Hebrews Seminar)
히브리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의 성격과 의미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히브리서 기자는 1세기의 철학적 상징과 종교적 상징을 적절히 결합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구원의 은사와 제자도의 견지를 강조하고 있다. 주어진 논쟁의 흐름을 따라 히브리서 기자의 삶의 자리와 히브리서의 신학적이고 목회적인 성격을 살펴본다.
요한계시록 세미나(The Revelation to John Seminar)
요한계시록은 기독교의 과거 및 현재의 역사에 중요하고 복잡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문서인 만큼 심도 있는 다각적인 이해를 하여야 한다. 신구약 중간기의 묵시문학 운동, 신약성서의 묵시사상 및 당시의 사회정치종교 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요한 계시록의 구조 및 내용 등 개론적인 사항들을 연구함으로써 오늘의 교회를 위한 메시지를 모색한다.
바울신학(The Study of Pauline Theology)
사도바울의 신학은 기독교 신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사도 바울의 신학에 대한 연구사를 개괄하고 대표적인 고전적 저서들을 읽으며 바울신학의 각론들을 기초로 바울사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이다.
바울의 기독론(Christology of Paul)
바울서신에 나타난 기독론적 개념과 용어들을 각 서신별로 그리고 총체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초대 기독교의 근간을 형성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다각적으로 접근한다.
묵시문학연구(A Study of Apocalyptic Writings)
다양한 묵시문학의 글들을 읽음으로써 신약성서의 배경사를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는 유대교 및 그리스도교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시각 및 지평을 열어 줄 것이다.
옥중서신 세미나(Prison Epistles)
이 과목은 전통적으로 옥중서신으로 분류되는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를 연구함으로써 바울의 고난의 생애에서 도출된 신학 사상, 그리고 초대 기독교 공동체에 관한 바울 후기 혹은 바울 학파의 사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특별히 에베소서와 골로새서의 우주적 그리스도론과 교회론를 검토하고 심화된 연구를 촉진하고자 한다.
고린도전서 세미나Ⅱ
바울 서신 중 가장 현장성을 가진 편지라 할 수 있는 고린도전서의 각 장의 사회문화적, 언어학적 그리고 종교적 배경과 문맥에 따른 메시지와 신학을 분석하고 오늘날의 상황에서 그 의미를 조명한다.
중급헬라어(Intermediate Greek)
헬라어 어휘력을 넓히고 원문을 통한 헬라어 구문에 친숙해짐으로써 헬라어를 읽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약성서와 영지주의(The NT & Gnosticism)
20세기 나그 함마디 문서의 발견은 기독교의 내적 자료들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알려져 왔던 영지주의 운동에 대한 일차적 자료들을 제공해준 역사적 사건이었다. 영지주의의 역사와 분파, 사상의 구조 등을 살펴보고 신약성서와 영지주의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이다.
성서해석학(Biblical Hermeneutics)
성서해석학은 곧 시대와 문화의 정신사조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역사비평이 팽배하던 모더니즘의 시대를 벗어나 포스트모더니즘의 방법론들이 성서해석에 활용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다양한 성서해석학적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요청된다. 역사비평, 문학비평, 해체주의 비평, 수사학적 비평, 사회학적 비평, 정신분석 비평, 이데올로기 비평, 아시아 신학 등 다양한 방법론과 관점들을 이해함으로써 성서해석의 지평을 확대 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성주의 성서해석 세미나(Seminar on Feminist Biblical Interpretation)
여성주의 성서해석은 기독교 지도력의 역사와 성서해석의 역사가 남성중심적인 관점과 가부장적인 가치관에 의해서 주도되어 왔다는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여성주의적 관점은 대표적인 이데올로기 비평방법론으로서 새로운 문명과 문화형성에 창조적 책임을 지니고 있는 기독교의 신학적 사고에 있어서나, 목회적 실천에 있어서 중요한 도전이다. 여성주의적 관점을 연구하고 성서해석에 적용하는 것은 이 모든 과제에 토대가 되는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므로 이 세미나에서는 여성주의 성서해석의 역사와 이론과 본문해석의 예들을 연구한다.
베드로서신연구Ⅰ(A Study of 1 & 2 Peter Ⅰ)
 
베드로서신연구Ⅱ(A Study of 1 & 2 Peter Ⅱ)
 
데살로니가전서 강독(A Study of 1 Thessalonians)
 
베드로 전후서 세미나(A Seminar of 1 & 2 Peter)
 
(신약성서교회론)신약성서와 교회론(Ecclesiology in the New Testament))
교회는 기독교 신앙 공동체의 대표적인 모형이다,. 이 과목은 교회 공동체의 기원, 형성, 그리고 특징을 초기 기독교 운동 과정에 비추어서 연구하고, 신약성서에 나타난 교회 공동체의 다양한 신학적 이미지와 개념을 탐구함으로써 21세기 한국교회를 위한 성서적 교회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산상설교 연구(Study of the Sermon on the Mount)
신약학계의 권위있는 주석 시리즈인 Hermeneia에서 산상설교만을 별도의 주제로 하여 주석책을 출판할 정도로 산상설교는 학문적 연구의 가치가 있을 뿐아니라(Hans Dieter Betz, The Sermon on the Mount, 1995) 종교와 사상의 세계에서도 중요한 전거가 되는 본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의 큰 관심을 끌고있지 못하다. 이 과목은 산상설교에 대한 주석적, 비평적, 사상사적 연구를 통해서 역사적 예수의 하나님 나라 운동의 정신데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다.
TOP

교회사

역사방법론(Historiography)
다양한 분야의 역사서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사이론, 역사연구방법론, 역사서술방법론 등을 연구한다. 대학원 교회사전공 필수과목이다.
한국교회사연구(Stud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을 시기, 주제, 인물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역사의 어둠 짙었던 한국 근현대사의 불확실한 세상에서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랐던 신실한 우리 신앙선배들의 삶과 신앙고백의 현재적 의미를 찾아본다.
에큐메닉스(Ecumenics)
세계교회사에 나타난 교회의 분열과 연합운동, 특히 20세기 들어 본격화된 교회연합운동의 역사와 신학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지역 차원의 교회연합운동을 모색해 본다.
신흥종교운동 연구(New Religious Movements)
현재 한국교회와 사회는 공신력 있는 이단연구와 효과적인 이단대처를 요구하고 있다. 본 강의는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 특히 총회의 결의에 의해 이단 규정된 단체나 개인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신학적 연구를 한다.
교부학(Patristics)
그레고리(Gregory the Great)에 이르기까지의 초대교부들의 신학을 연구한다.
종교개혁사(History of the Reformation)
루터, 캘빈, 낙스 등의 개혁주의 종교개혁자들의 신학을 연구한다.
경건주의(Pietism)
종교개혁교회를 새롭게 하기위해 일어난 유럽의 경건주의운동과 북미의 복음주의적 부흥운동의 교회사적인 배경과 신학을 연구한다.
북미기독교연구(북미교회사)(History of Christianity in North America)
미국과 캐나다교회의 역사와 신학 그리고 한국에 온 초기선교사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북미기독교가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을 탐구해 본다.
동아시아교회사(History of Christianity in East Asia)
중국과 일본의 기독교역사를 연구한다. 또한 중국과 일본교회와 한국교회의 관계사를 통해 상호 끼친 영향을 분석하고, 에큐메니칼 차원에서의 바람직한 관계를 모색한다.
로마가톨릭교회사(Histor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트렌트공의회(1545-1563)로부터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까지의 로마가톨릭교회의 역사와 신학 그리고 직제와 예전의 변화를 다룬다.
세계부흥운동연구(Evangelical Revival Movements)
독일과 영국의 경건주의운동과 미국의 대각성운동 등 18~19세기 동안 세계 곳곳에서 진행된 부흥운동들을 연구한다.
북미교회사(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North America)
한국기독교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역사에 대해 연구한다.
1907년 대부흥운동 연구(The Great Revival of 1907)
대부흥운동(1907)으로부터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 설립(1912)까지의 시기의 교회사적 의미를 발견한다.
성지연구(Study on Sacred Places)
한국교회사 관련 기독교 유적지에 대한 교회사적 접근과 현장 답사를 통해 연구한다. 특히 서울지역과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부산경남 교회사 연구(History of Christianity in Busan and Kyungnan)
부산경남지역 교회사를 미국 북장로교회와 호주장로교회의 부산지역 선교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지역교회사의 관점을 가지고 부산경남지역 기독교신앙의 뿌리를 찾아본다.
TOP

조직신학

신학체계론(A Study of the Structure of Theology)
기독교 신학의 역사 중 특별히 중요한 신학적 체계를 형성한 루터, 칼빈, 슐라이에르마하, 바르트의 신학 구조를 비교, 연구한다.
신학방법론(Methods of Theology)
신학을 전개하는 여러 방법론들과 그 대표적인 경우들을 한스 프라이의 Types of Christian Theology에 의거 연구한다.
인간론 세미나
기독교적인 관점에서의 인간 이해를 주요한 신학자들의 저술을 통해 연구한다.
신론 세미나(Seminar on the Doctrine of God)
삼위일체론을 비롯한 기독교적인 신 이해의 주된 특성을 연구한다.
기독론 세미나(Seminar on Christology)
기독교 신학의 중심인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여러 학문적인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성령론 세미나(Seminar on Pneumatology)
성령의 인격과 사역 및 그 것이 오늘의 현대 교회에 가지는 함의를 연구한다.
구원론 세미나(Seminar on Soteriology)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구원의 의미를 교회사 및 현대 정신과의 대화 속에서 연구한다.
교회론 세미나(Seminar on Ecclesiology)
교회의 기원과 본질에 대하여 연구한다.
종말론 세미나(Seminar on Eschatology)
기독교적 종말 이해와 연관된 여러 문제들을 현대 정신과의 대화 속에서 연구한다.
근대신학 연구(A Study of the Modern Theology)
근대 계몽주의 이후 칼 바르트 이전 까지의 독일을 중심한 유럽 신학을 연구한다.
현대신학 세미나(Seminar on the Contemporary Theology)
칼 바르트 이후 최근의 생태 신학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신학 운동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신학과 과학(Theology and Science)
오늘날 종교와 신학에 대한 가장 큰 도전이라고 할 수 있는 현대의 자연 과학, 특히 우주 물리학과 진화 생물학이 가지는 신학적 함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신학과 철학(Theology and Philosophy in dialogue)
신학과 철학이 교회 역사 속에서 맺어온 관계들과 또 올바른 관계의 모습들을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신학적 해석학(Theological Hermeneutics)
텍스트 및 삶에 대한 비판적 읽기로서의 해석학이 신학과 맺는 관계를 살피고 해석학적 신학의 여러 면모들을 함께 연구한다.
학문 이론과 신학(Wissens chafts theorie and theology)
 
창조론세미나(Seminar for Geneses theory)
 
바르트 신학연구(The Theology of Karl Barth)
현대 신학의 대가인 칼 바르트의 신학을 그의 원저들을 중심으로 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틸리히 신학연구(The Theology of Paul Tillich)
폴 틸리히의 신학의 강점과 약점 오늘의 삶에 대한 함의를 그의 원저들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불트만 신학 연구(The Theology of Rudolf Bultmann)
조직신학자로서의 루돌프 불트만의 여러 신학적 사상들과 그 함의들을 함께 찾아본다.
본회퍼 신학 연구(The Theology of Dietrich Bohnhoeffer)
20세기 중반 이후 지금까지 계속된 신학적, 영성적 원천의 하나인 디트리히 본회퍼의 신학적 성찰들을 그의 주저들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것이 한국 교회에 가지는 함의를 찾아본다.
신학과 신학자들(Theology and Theologians)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주요한 신학적 주제 1- 2 가지를 선택하고 그 주요한 신학자들의 글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신학적 사회론(Theological Perspectives on Society)
신학이 가지는 사회적 함의들을 몇 명의 신학자들의 글을 함께 읽으므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개혁신학 세미나(Seminar on Reforamtion Theology)
칼빈에서 불링거를 거쳐 다양한 형태로 발달해온 개혁 신학의 여러 면모들을 역사적으로, 조직신학적으로 살펴보고 그 것이 한국 교회에 가지는 의미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여성신학 세미나(Seminar on Feminist Theology)
20세기 중반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의 하나로 등장한 여성 신학의 여러 주제들을 오늘의 한국 사회와 교회의 장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연구한다.
한국신학 세미나(Seminar on Korean Theologies)
한국 교회의 상황에서 자생한 여러 한국적인 신학 운동들을 역사적으로, 신학적으로 검토한다.
(북미기독교연구)북미신학 세미나(Seminar on North American Theologies)
미국과 캐나다의 주된 신학적 흐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것이 오늘의 한국 사회와 교회에 가지는 의미를 함께 찾아간다.
제 3 세계 신학(The third World Theology)
아시아와 남미, 아프리카에서 형성되어온 여러 신학 운동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 교회에 가지는 의미를 탐구한다.
칭의론(Doctrine of Justification)
다양한 학자들의 칭의론을 그들의 문제의식과 더불어 가능한 일차문헌을 가지고 다룬다. 칭의론은 조직신학의 모든 세부적인 항목들이 이 주제로 재구성되어야 할 만큼 폭넓은 차원을 지니고 있음이 드러난다.
계시와 이성(Revelation and Reason)
기독교도 다른 종교들 중 하나라고 할 때, 기독교의 독특성과 차이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데, 이질문에 대한 가장 본질적, 근본적 논점은 계시이며, 이 계시가 어떤 계시며,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를 다뤄야 한다. 또한 기독교 신학 안에서 계시의 위치(비중)를 이성과 성경, 교회 및 신앙과 관련해서 규명(신학적)하려는 것이다.
헨리나웬의 신학과 영성(The Thelogy and Spirituality of Henri Nouwen)
20세기 중반기 이후 영성에 대한 관심이 전 지구적으로 높아져 왔다. 이 과목은 우리시대의 영성신학의 가장 중요한 목소리의 하나인 헨리 나웬의 신학과 영성을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칼바르트의 로마서 강독(The Understanding of Karl Barth's Romer Brief)
로마서 강해 1판과 2판을 비교하면서 신학사조의 큰 흐름을 구별하고 그의 작품을 착실히 읽고 분석함으로서 바울의 로마서를 읽어내는 칼바르트의 신학적 관점을 규명하는데 역점을 둔다. 그리고 이 관점에 기초한 그의 신학사상의 규모와 영향을 파악하여 우리시대의 신앙과 교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칼바르트의 기독론
20세기의 대신학자인 칼 바르트의 그리스도 이해를 원전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TOP

기독교윤리

기독교윤리학 방법론(Methodology of Christian Ethics)
기독교윤리학의 연구함에 있어 규범 형성 과정과 규범 이행 과정을 기독교윤리학자들의 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기독교윤리사상사(History of the Christian Ethical thought)
기독교 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윤리사상가들의 사상과 전체적인 흐름을 조망한다.
기독교사회윤리(Christian Social Ethic)
기독교사회윤리이론을 정리하고 현대사회의 사회윤리적 문제들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모색한다.
기독교윤리와 한국사상(Christian Ethics and the Korean Thought)
기독교윤리 체계와 한국 윤리 사상 체계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한국인으로서 우리 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한국 기독교 윤리 사상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현대사회와 기독교윤리(Modern Socirty and Christian Ethics)
현대사회의 윤리적 문제들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그것을 윤리적으로 분석하여 기독교윤리적으로 응답하고자 한다.
종교사회학(Sociology of the Religeon)
사회 현상으로서의 종교, 즉 종교가 사회 안에 존재하는 실체일 뿐 아니라, 사회를 구성하는 여타의 사회적 현상들과 지속적이고 상호적인 여러 가지 관계를 맺고 있는 하나의 현상이라 점에 근거해 종교를 이해하고자 한다.
기독교 자연법(Christan Natural Law)
자연법의 역사적 전개를 검토하고, 카톨릭 윤리와 개신교 윤리에서의 타당성과 현실 적합성 여부를 진단한다.
전쟁과 평화(The Quest for peace)
기독교 역사에서 전쟁과 평화에 대해 취해온 윤리적 입장을 평화론과 정당전쟁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특히 대량 살상 무기를 수반하는 현대 전쟁에서의 각 이론의 한계와 타당성 여부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세계 평화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라인홀드 니버 윤리(The Ethical Study on Reinhold Neibuhr)
현실주의 기독교윤리학자 라인홀드 니버의 윤리 사상의 핵심을 공부하고, 그의 이론이 제3세계와 한국의 현실에서 어떤 적실성을 갖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칼 바르트 윤리(The Ethical Study on Karl Barth)
바르트의 윤리사상을 연구한다. 그의 하나님 명령의 윤리가 세상 속의 교회가 어떤 사회윤리적 모티프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본훼퍼 윤리 연구(The Ethical Study on Dietrich Bonhoeffer)
본훼퍼의 저작에 대한 분석적인 글읽기를 통해 그의 사회윤리론과 그 토대로서의 교회론, 행위와 존재, 제자도, 위임 개념등을 검토한다.
기독교 경제윤리(Christian Economic Ethics)
기독교 경제윤리의 역사를 조망하고, 기독교 사회정의의 기초를 탐색한다. 기독교의 삶의 자리인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윤리적 탐검과 정의로운 분배의 문제를 다룬다.
기독교와 문화연구(Christian Cultural Studies)
소비대중사회의 지배적인 문화인 대중문화를 분석할 수 있는 문화연구의 학문적 성과를 검토하고, 기독교문화 형성의 이론적/실천적 방안을 모색한다.
칼빈 윤리사상 연구(A Study on Calvin's Ethical Thought)
본 강의는 칼빈의 인간론, 구원론을 근거로 그의 정치사상과 경제사사을 통해 사회윤리를 탐구함을 그 내용으로 한다. 칼빈의 윤리사상의 핵심은 aequitas(형평)이다. 이는 하나님의 caritas(자비)와 iustum(공의)에 근거한 인간평등주의를 실현함을 그 목표로 한다. 본과목은 이러한 점을 근거로 칼빈의 사회윤리 사상을 탐구할 것이다.
기독교윤리와 해석학
해석학이란 그 전개과정이나 심화과정, 특별히 고민스러운 부분을 캐려 애쓰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즉 ‘철학적 문제의식의 심화과정’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진실이 아테네 시민들에게는 불편한 진실이 되었던 것처럼, 철학이나 신학은 그 사고가 등장한 여건이나 맥락을 고려하지 않을 때 피상적 논의가 되기 쉽다. 본 강의에서는 먼저 철학적 문제에서 그 심화과정을 - 슐라이어마허, 딜타이, 하이데거, 기다머, 리꾀르, 하버마스 등을 중심으로 -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논의를 우리의 삶의 자리에서 기독교윤리적으로 성찰할 것이다.
TOP

예배와설교

초대 교회의 예배(Liturgy of the Early Church)
5세기까지 각 지역의 예배 형태와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현대 목회에서 배워야 할 점들을 인식한다.
종교 개혁과 예배(Liturgy of the Reformation Period)
종교 개혁의 정신을 이해하고, 그것들이 예배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연구한다.
한국 교회 예배사(The History of Korean Church Liturgy)
한국 개신교의 부흥기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교회 예배의 변화를 연구하고, 예배의 토착화 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확인한다.
장로교 예배의 전통(The Tradi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장로교 예배와 개신교 예배의 각 전통들을 비교 분석하고, 그 안에 담겨진 각 교회의 영성의 차이를 확인한다.
예배와 영성(Liturgy and Spirituality)
성서와 역사를 통해 영성의 본질과 변화를 주목하고 그것들이 예배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아본다.
성찬론(The Study of the Eucharist)
성찬의 역사적 변천과 각 교회에서의 전통을 연구하고, 현대 개신교에서 어떻게 성찬을 적용해야 하는지 제시한다.
세례와 영적 공동체 연구(Baptismal Community)
세례에 대한 종교 개혁자들의 개념들을 비교하고, 현대 기독교 공동체에서 세례가 갖는 의미를 다룬다.
성례와 치유(Healing in the Sacrament)
초대교회로부터 증거되어온 치유로서의 성례를 연구하고, 그것이 현대 치유 사역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예배와 현대 문화(Liturgy in Postmodern Culture)
현대 문화 속에서 예배가 갖는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진단, 해결책을 제시한다.
예배의 패러다임 연구(The Study of Liturgical Paradigm)
예배가 가지는 가장 근본적인 담론, 예배의 텍스트와 컨텍스트와의 관계성, 그리고 현대 목회에서 예배가 갖는 의미를 균형있게 고찰한다.
실천신학으로서의 예배(Liturgy as a practical Theology)
현대 신학에서 실천신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예배는 특히 현대신학에서 상징, 언어, 성례의 기능들이 포괄적으로 함축된 분야이다. 이에 실천신학으로서의 예배 기능을 연구한다.
설교와 현대 목회(Homiletics in Postmodern Ministry)
본 강의는 목회 안에서 설교가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 현대 목회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컨텍스트들을 진단하며, 복음을 설교로 재구성하는 문제와 해결책들을 제시한다.
구약과 설교(Preaching from the Old Testament)
구약에서 제시된 창조와 예언을 현대적 언어로 재구성하고, 그 안에 담겨진 그리스도 신학을 언어화하는 연구법을 제시한다.
현대 문화와 선포(Postmodern Culture and Proclamation)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교회 강단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연구하고,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 속에서 복음을 재해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성서적 설교 방법론(The Methodology in Biblical Preaching)
그리스도의 설교와 바울의 설교를 중심으로 성경에 나타난 설교의 유형과 핵심적 메시지를 연구한다.
구약의 예배
기독교 예배의 기초가 되는 구약의 제사와 예배 영성을 이해함으로써 복음적 예배에 필요한 요소들을 발견한다.
초대 교부의 설교(Homiletics of the Early Fathers)
오순절 사건부터 5세기까지의 초대교부들의 중심사상과 그들의 설교 메시지를 연구한다.
종교개혁 정신과 설교'정신과 설교(Preaching of the Reformation Period)
루터, 칼빈, 쯔빙글리와 같은 종교개혁 주체들의 신학적 중심사상을 연구하고, 그들의 설교 텍스트를 분석한다.
미국 대각성 운동과 설교(Preaching of the Great Awakening Period)
19세기 이후 찰스 피니와 같은 대각성 운동의 신학적 주체들을 살펴보고, 한국 교회 강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한다.
설교 유형론(Patterns of Preaching)
설교의 구성 내용을 다루고, 각 내용들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의미를 가져야 하는지 연구한다.
설교와 전달법(Rhetoric of Preaching)
설교의 수사학적 방법론을 초대교회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루며, 현대 문화에 어울리는 설교 전달 방식에 대해 토론한다.
설교와 커뮤니케이션 이론(Preaching in Communication Theory)
설교의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를 이해하기 위해 언어구조학이나 상징주의, 그리고 기호학적 이론들을 이해한다.
예배와 상징(Liturgy and Symbols)
 
설교의 역사(History of Preaching)
설교의 역사는 교회의 역사와 함께 존재해 왔다. 이 장구한 역사 속에서 설교는 어떻게 시행되었고 발전되어왔는지를 알아본다. 특히 오리겐, 크리소스톰, 어거스틴을 비롯하여, 루터 칼뱅, 그리고 현대의 빌리그래함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생애와 신학을 설교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들이 남긴 설교들을 직접 읽고 설교하여 기독교의 위대한 설교가 들의 장점과 단점을 연구하는 하도록 한다.
예배음악(Liturgical Music)
 
TOP

목회상담

결혼과 가족체계(Marriage and Family System)
이 과목은 주요한 체계이론들과 결혼과 관계 치료의 다양한 기술들을 포함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접근 방법들을 탐구한다. 한 가족 안에서 발생하는 문제들과 어려움들을 이해하는데 원가족의 구조와 가족안의 관계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 지 알아보며, 그리고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상담이 이루어 지는 지 실제적인 사례들을 통하여 분석한다.
신앙과상담(Faith and Counseling)
이 과목은 상담 상황에서 작용하는 신앙의 독특하고 역동적인 역할에 대해서 소개한다. 인간이 경험하게 되는 고통과 치유와 희망들을 기독교 신학과 성경 등과 연관지어 분석한다. 학생들은 목회/기독교/영성 상담가에게 매우 필수적인 신학적이며 영적인 접근을 중심으로 통합적인 접근방법의 다양한 면들을 발달하게 된다.
교육목회(Educational Ministry)
본 강좌에서는 한국 교회의 목회 현장에서 제기된 다양한 실제적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에 대한 건설적이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해보고자 한다. 수업을 통하여 수강생들은 목회현장의 문제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통찰력을 습득하고, 각 문제에 대한 대안책으로서의 교육목회의 다양한 방법들을 고안하고 직접 실습하여, 그 결과들을 발표하고 함께 분석하고 해석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TOP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학과 신학(교육신학)(Christian Education and Theology (Educational Theology))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신학과 교육의 관계를 살피고 성서적-신학적 핵심 내용을 어떻게 기독교교육학적으로 카테고리화하고 현장에서 재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접근방법을 유형별로 고찰한다.
기독교교육학과 철학(기독교교육철학)(Christian Education and Philosophy (Philosophy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규정하기위해 교육철학의 유형 및 해석학, 현상학, 구조주의 등의 철학적 방법론과의 대화를 시도한다.
기독교교육학 방법론(Methodology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학의 제반 현상을 분석하고 개념화하는 틀로서 신학적, 철학적, 사회과학적 접근이론을 고찰하고 그 가능성을 추적한다.
기독교교육 인간학(Anthropology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의 대상으로서 인간이해에 대한 신학적, 교육학적, 철학적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기독교교육이 추구해야할 인간의 모습을 고찰한다.
아동/청소년 기독교교육(Christian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심리-사회적 상황과 그 발달과제를 분석하고, 그 시기에 필요한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내용을 진단한다.
성인/노인 기독교교육(Christian Education for Adults)
성인기과 노년기의 심리-사회적 상황과 그 시기적 삶의 과제를 분석하고, 그 시기에 필요한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내용을 진단한다.
여성과 기독교교육(Women and Christian Education)
남성의 파트너로서 여성의 종교적, 철학적, 사회학적 의미를 분석하고,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내용을 진단한다.
기독교교육교사론(Teachership in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지도자 및 교사의 사역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교육학적 의미를 전반적으로 살피고, 성서교육에 대한 제반 이론과 실제 방법을 연구한다.
기독교교육 현장론(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의 현장인 가정, 교회, 학교, 사회 등이 지니는 시대적, 신학적, 교육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그곳에서의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가능성을 살펴본다.
교회교육론(Christian Education in Church)
교회의 교육적 사역을 위한 전반적인 교육이론 및 교육행정에 대한 전반적 내용을 개괄하고, 가정, 학교, 사회 기독교교육의 중심이며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고찰한다.
기독교교육사(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세계 교회사속에 나타나는 기독교교육의 전반적인 역사를 살피고 그 흐름을 분석한다.
한국 기독교교육사(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한국 기독교사속에 나타나는 기독교교육(교회교육)의 역사를 살피고 현재 기독교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조망한다.
기독교교육 사상사(History of the Thought of Christian Education)
역사의 각 시대별로 기독교교육을 주도했던 중요사상을 개괄한다.
현대 기독교교육 사상사(Contemporary Thought of Christian Education)
현대 유럽과 영미권에서 주목받는 기독교교육 사상 및 이론을 소개하고 한국 현실과 관련해서 그 의미와 가능성을 고찰한다.
성서 교수학(Bible and Didactic)
신구약 성서 및 기독교신학의 핵심적 교리를 교수학적 측면에서 어떻게 재해석, 재구성할 것인가에 대해 고찰한다.
기독교교육 교수-학습 방법(Teaching-Learning Method in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 수업 과정속에서 적용가능한 다양한 기독교 교수-학습 방법들을 이론적으로 실제적으로 고찰한다.
기독교교육과정(Curriculum and Learningprocess in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목적 설정과 내용 선정, 수업의 조직과 구성, 수업의 준비와 진행, 방법의 선택과 수업에 대한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을 어떻게 조직화 할 것인가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분석 고찰한다.
기독교교육과 커뮤니케이션(Christia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신학적, 사회과학적 고찰을 통해 살펴본다.
기독교교육과 미디어(Christian Education and Media)
미디어는 단순히 교육의 도구 또는 교재의 범위를 넘어서서 현대 교육과 커뮤니케이션의 주도적 역할을 한다. 매스미디어, 광고, 영화, 텔레비전, 신문 등이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고 기독교교육학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TOP

선교학

성서와 선교(Bible and Mission)
 
현대선교신학(Contemporary Theology of Mission)
 
평화선교(Peace Mission)
치유와 화해에 대한 에큐메니칼 선교대회의 논의를 소개하고, 전 세계 분쟁지역에서 화해를 이루기 위한 세계교회의 노력을 알게 하며, 분단된 한반도에서 한국교회가 평화선교를 이루기 위한 과제와 신학을 이해하고 참여하도록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