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장신대 > 대학원 > 신학대학원 신학과 > 교과목해설

교과목해설

신학대학원 신학과 교과목해설 안내입니다.

공통

신학과 목회 (Theology & Ministry)
목회적 실천은 건실한 신학적 성찰을 전제로 한다. 이론적 성찰이 없는 실천은 맹목적이다. 마찬가지로 현장을 잃은 신학은 공허할 것이다. 물신숭배와 상업주의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오늘날목회현장에서 올바른 영성과 지성의 통전에 기초한 목회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 한국교회의 미래목회의 길을 밝혀줄 것이다. 본 강의는 우리학교 신대원의 바람직한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과목으로서,목회실천에 대한 신학적 전망을 열어주는 각전공 분야 교수들의 팀티칭을 기초로 이루어진다.
지역사회와 목회 (Local Community & Ministry)
목회실천의 장으로서의 부산 경남 지역은 한반도에서 독특한 위상을 지니고 있다. 그 역사와 지리, 기후와 토양, 문화와 예술, 풍속과 인심, 산업분포와 자원, 도시계획과 개발, 교육수준과정치지향, 경제활동과 국제관계, 지역종교와 종교분포등 지역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통해 복음이 효율적으로 선포되고 목회가 건실하게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
논문작성법
본 강좌는 학부 졸업논문이나 석사학위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논문 작성 전에 필요한 예비지식과 실제적으로 논문 작성 시 필요한 형식상의 기술을 가르치는데 그 목적이 있다.수업 내용은 졸업논문의 취지와 필요성, 주제선택에 있어서 고려할 점, 자료조사 방법, 도서관 이용법, 연구계획서 작성법, 목차 짜기, 색인카드 활용법, 인용문넣기, 각주의 용도, 참고문헌목록 정리하기, 우리말로 논문 쓸 때 유의해야 할 점 등으로 구성된다.
지역사회봉사실습 Ⅰ,Ⅱ (Practice of Social Service)
실제 현장에서 봉사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섬김을 배우고 실천하게 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봉사활동은 다양한 장소에서 무보수로 이루어지고 몸과 마음을 다해 섬김을연습한다.
헌법(Constitution)
신학원서강독(영어) I, II(Theology Readings in English I, II)
영어로 쓰여진 신학 각 분야의 글들을 함께 읽으면서 영어원서를 스스로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신학원서강독(독일어) I, II(Theology Readings in German I, II)
오늘날 신학계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독일어 신학원서들을 바르게 읽고 해석할 수 있도록 독일어 실력을 향상시켜 주는데 그 목적을 둔다.
글쓰기(WRITING)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글쓰기는 아무도 피해갈 수 없는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특히 목회자는 각종 기고문, 계획서, 설교문 등 글을 작성하는 일에 밝아야  성공적인 목회를 할 수있다. 이런 점에서 글쓰기는 우리의 삶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글쓰기에 대한 충분한 이론과 실천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공부하도록 하고 나아가 목회에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다.
성지답사(Biblical Geography)
성경과 관련된 지역을 직접 답사하여 역사와 지리적 구조를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을 통해 미리 예비 교육을 하여 사전 지식을 가지고 답사하도록 한다.
경건실천 1
예배
경건실천 2
예배
경건실천 3
예배
경건실천 4
예배
경건실천 5
예배
경건실천 6
예배
WCC의 이해와 실제(The Understanding of the WCC and its Experience)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과WCC에 대한 이해를 돕고 부산총회 자원봉사를 통해서 실제 경험을 하며 비판적 평가와 성찰을 하도록 도모한다.
헌법
개요
1.교회의모든행정은하나님의은혜와헌법을통해이루어진다.
2.교회공동체의질서와평안을위해반드시필요한것이법이다.
3.교회의지도자인목회자는반드시법을알아야자신과교회를보호할수있다.

목회현장에는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결과가아니라 절차를 어긴 것 으로 인해 결국 패소하게된다.
따라서 법은 아는 것 만큼 자신과 공동체에 유익을 준다.
목회실천
목회실천학기는 정규3년의 M.Div 과정인 6학기를 나누어 1~5학기, 성서, 이론, 실천 영역의 학교 교육과정에 집중하고 6학기 목회실천학기를 목회현장 실습을 특화하는 과정으로이루어진다.
TOP

구약학

히브리어 문법(Biblical Hebrew Grammar)
구약학 연구의 기초가 되는 성서(고전)히브리어의 기초 문법을 배우고 빈도수 높은 단어들에 친숙하게 한다. 문법을 배운 후 히브리 성서의 한 두 장을 강독하면서 문법을 간략하게 정리한다.
구약성서이해 I(Understanding the Old Testament I)
구약성서에 얽혀있는 주요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개관하고 내용이해에 집중하되 오경과 역사서를 배운다.
구약학 개론(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구약성서를 읽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지식과 안목을 신학도들로 하여금 구비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약학 개론2(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구약성서를 읽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지식과 안목을 신학도들로 하여금 구비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약석의 방법론(Old Testament Exegesis)
구약석의 기초적인 방법을 간단히 소개하고 중요한 성서구절을 선택하여 주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루는데 목적을 둔다.
구약신학(Old Testament Theology)
구약성서 안의 주요 신학적 주제들을 통시적, 공시적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한다. 특히 하나님은 누구신가에 대한 구약학적 답변을 모색한다.
영어신학강독(Readings on Christian Theology)
영어신학강독은 원서읽기를 통해 전공분야의 일차자료들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그 목표가 있다.
히브리어 연습(Hebrew Practice)
구약성서 히브리어 본무의 다양한 구문을 선택하거나 그런 본문들이 골고루 들어있는 특정 본문을 골라 읽으며, 히브리어 구문론을 중급 수준의 히브리어 문법책과 히브리어 사전을 중심으로익혀나간다. 특히 시문과 산문을 골고루 연습하도록 본문을 선별한다. 더불어 BHS 히브리어 성경의 다양한 비평장치들을 익힘으로써 구약주석의 토대를 마련한다.
구약성서이해 II(Understanding the Old Testament II)
구약성서 중 예언서와 시가서 부분에 대한 개론적 소개를 통해 구약성서 자체에 대한 지식을 함양시키는 동시에 학계에서 논의되는 주요 이슈들을 숙지하게 하여 심도 있는 구약성서 연구의 기반을제공한다.
구약세미나(Seminar on the Old Testament)
구약학 연구의 핵심 주제나 어휘, 혹은 특정 본문을 집중 세미나를 통해 연구한 후, 관심 주제에 대한 소논문을 직접 작성해 본다.
최근 구약학의 동향(Issues in Old Testament Study)
최근 구약학계의 전반적 이슈가 무엇인지 정리한 후, 이러한 최근의 연구동향이 한국에서의 구약성서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살펴본다.
구약본문 해설(Textual Study of the Old Testament)
구약성경의 책을 한 권 택하여 본문을 자세히 읽고 분석하여 올바른 본문 이해를 도모한다. 먼저 우리말 역본들(개역 개정, 새번역, 가톨릭 성경 등)의 차이점을 정확히 분석하여 그 본문비평적 원인을 찾아 본다. 필요한 경우 영어나 독일어 등의 역본도 함께 살펴본다. 가능하다면 이에 대해 원어의 관점에서 차이점의 원인을 찾아본다. 이로써 본문의 어휘와 개념을 정확히이해한다. 더불어 본문 내용의 전개를 세밀히 분석한다. 이로써 본문의 문맥을 정확히 이해한다. 더 나아가 신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나 어휘를 성구사전, 신학사전 등의 도움을 받아 조사하여본문의 구약 신학적 위치를 규명해 본다.
구약성서와 설교(Old Testament and Preaching)
구약 본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설교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바꾸게 할 수 있는가를 배운다. 또한 그 동안 교회에서 선포된 구약본문들을 히브리어 성서를 읽어가며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약성서해석사(Old Testament Hermeneutics)
고대시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구약성서가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가를 추적하고, 현 한국적 정황에서의 바람직한 구약해석방법은 무엇인지를 배운다.
칠십인경 강독(Greek Reading Septuagint)
먼저 히브리어 구약성경과 헬라어 신약성경을 이어주는 헬레니즘 시대 구약성경 헬라어 번역본인 칠십인경의 기원과 특징을 개괄한 뒤에 히브리어 구약성경 본문과 칠십인경 헬라어 본문, 그리고가능한 경우 신약성경 인용본문을 더불어 비교한다. 그리하여 성경본문의 전승과 수용 양상은 물론 히브리어와 헬라어 강독 능력을 동시에 키운다.
성서지리(Bible Geography)
이스라엘과 주변의 지리와 자연환경을 배움으로써 성경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본 강의는 본교의 성지순례 실습과목의 선수과목이다.
이스라엘 역사(History of Israel)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를 주변국가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성서를 중심으로 개관하고 역사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메시지를 배운다.
구약주변세계 연구(Study of Ancient Near East)
이스라엘 주변 국가들의 역사와 문화, 정치체제 등에 대한 연구는 이스라엘의 역사 및 사회를 이해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준다. 이러한 직접적인 영향하에서 이스라엘은 야훼신앙과 정체성을 어떻게유지해 갔는가를 배운다.
성서시대의 생활과 풍속(Biblical Life and Customs)
성경은 콘텍스트가 있는 책이다. 성서시대(신구약)에 살았던 사람들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삶의 터전속에 뿌리내리며 하루 하루 살아갔던 사람들이다. 이러한 사람들에 의해 하나님의 영감으로쓰여진 성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생활과 풍습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목의 목적은 구약과 신약의 무대가 되는 팔레스타인과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의 의식주부터 시작하여사회, 정치, 경제, 문화를 이해하여 성경을 입체감 있게 볼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이스라엘 왕들 이야기(The Story of the Kings)
구약은 사람에 관한 이야기이다. 특히 사무엘서 이후 나오는 와정에 관한 이야기는 사람이야기의 정점이라 할 수 있겠다. 수많은 왕들과 사건들이 엮여져 사무엘서, 열왕기서, 역대기서를 이루고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과목은 왕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성경의 메시지(특히 신명기사가와 역대기사가의 관점)에 익숙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로기 이후 역사와 문학(Post-exilic History and Literature)
바벨론 포로기 이후 시기인 페르시아 시대의 역사와 문헌을 배운다. 특히 에스라-느헤미야서를 중심으로 이 시대의 이스라엘 역사를 재구성해 본다.
신구약중간사(Intertestamental History)
주전 약 5세기 후반 이후 신약시대 직전까지의 문학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시의 역사와 사상 등에 대해 공부한다.
지혜문학(Widom Literature)
구약성경 중 지혜문학으로 분류되는 작품들인 잠언, 전도서, 욥기서의 핵심 주제와 신학적 이슈들을 배운다. 또한 구약주변세계에서의 지혜문학작품을 함께 비교한다
신명기 연구(Study of Deuteronomy)
창세기 연구(A Study of Genesis)
구약성경의 첫 번째 책인 창세기를 집중 연구하되 각 장 별로 신학적 이슈들과 메시지들을 정리한다.
에스라-느헤미야서 연구(Study of Ezra-Nehemiah)
에스라-느헤미야서는 최근 들어 학계에서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책이다. 포로기 이후 시대의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일 뿐 아니라, 사회적, 민족적 갈등을 어떻게 치유할 수 있는지 엿볼 수 있는 실천적 메시지 역시 풍부하기 때문이다.
미가서 연구(Study of Micah)
주전 8세기에 남유다에서 활동했던 미가 예언의 특성을 살핌으로써 예언서 연구의 초석을 닦는다.
시편 연구(Study of the Psalm)
구약 내의 대표적 시문서인 시편을 유형에 따라 연구한다. 또한 요즘 시편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인 시편의 최종형태(the final shape of the Psalter)에 대해 공부한다.
예언서 연구(A Study of the Prophets)
구약성경의 대예언서 세권과 소예언서 열 두권을 배운다. 신학적 논점이 무엇인지를 통해 내용을 파악하여 예언의 현대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이사야서 연구(Exegesis on the Book of Isaiah)
제5복음서로도 불리는 이사야서의 문학적 구조와 신학적 주제들에 대한 최근의 연구결과를 배운다.
영화로 보는 구약(The Old Testament on Films)
구약성경을 읽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마치 하나의 세계를 이해하고 그 세계를 자기 나름대로 그려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구약의 세계를 이해하려면 본문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동시대의 역사, 정치, 문화, 사회, 문학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주석작업을 하게 된다. 영화는 일종의 주석이라 할 수 있다. 구약본문에 대한 해석이녹아있고, 문화와 사회 정치가 가시화 되어 이해하기 쉽게 도움을 준다. 이 과목은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구약성경을 바라보는 눈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히브리어 중급(Intermediate Hebrew)
히브리어의 동사편을 보완하여 히브리어 문법을 완성한다. 또한 히브리어 작문 연습을 통해 히브리어의 문장구조를 익힌다.
구약원전강독1(Hebrew Reading1)
성서히브리어 문법을 수강한 학생들이 직접 히브리어 원전을 읽을 기회를 제공한다. 친숙한 산문 및 운문 텍스트를 약 10장 가량 읽는다. 또한 히브리어 성경(BHS)을 다루는 방법을배운다. 곧 마소라와 비평장치를 어떻게 읽고 활용하는가를 배운다.
성지순례연구(Excursion to the Holy Land)
역사서세미나(Seminar of the Historical Books)
구약원전강독2(Hebrew Reading2)
성서히브리어 문법을 수강한 학생들이 직접 히브리어 원전을 읽을 기회를 제공한다. 친숙한 산문 및 운문 텍스트를 약 10장 가량 읽는다. 또한 히브리어 성경(BHS)을 다루는 방법을배운다. 곧 마소라와 비평장치를 어떻게 읽고 활용하는가를 배운다.
역사서II(Historical Books II)
구약의 신명기적 역사서와는 대별되는 역대기상하, 에스라, 느헤미야 및 에스더서를 신학적 이슈와 각 권의 내용과 메시지를 토대로 배운다. 특히 역대기는 예배와 제의에 대해 많은 자료를제공하고 있어 목회를 준비하는 신학대학원생들에게 필요한 과목이라 사료된다.
히브리어2(Biblical Hebrew Grammar 2)
약변화 동사 및 여러 활용형을 익히고 연습함으로써 기초 성서 히브리어를 복습하고 완성해 나가는 데 주안점을 둔다.
오경연구(Study of Pentateuch)
오경의 형성배경과 특징, 각 권의 내용적, 역사적 특징에 대한 관찰과 더불어 몇몇 본문을 선택하여 읽고 분석함으로써 실제 목회현장에서 성경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구약해석의 실제
구약성경이 신약보다 훨씬 두꺼움에도 불구하고 설교강단에서 30%밖에 설교되고 있지 않은것은 구약이 중요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제대로 이해하고 제대로 해석하기가 까다롭기 때문이다.
이과목은 구약성경의 해석의 단계를 익히고 실제적으로 해석 적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문학과 현대 목회
인문학과 과학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여 현대목회를 대비한다.
요셉이야기
요셉이야기를 여러 각도로 해석해 본다.
엘리야이야기
엘리야 이야기는 문서 예언자 이전, 주전 850년경 북왕국에서 활동한 엘리야 이야기를 다룬다. 그의 삶과 신앙, 믿음과 신학을 취급하며 고고학적 사회학적, 문학적 분석을 한다. 그리하여당시의 종교적 상황과 그에 따른 예언자의 고민과 행동, 그의 사역을 다루어 현대 교회와 목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시편연구
구약 내의 대표적 시문서인 시편을 유형에 따라 연구한다. 또한 요즘 시편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인 시편의 최종형태(the final shape of the Psalter)에 대해 공부한다.
TOP

신약학

신약 성서헬라어(New Testament Greek)
신약 성서의 석의(釋義)에 필요한 원어적(原語的) 이해와 접근에 도움이 될 기초 헬라어 문법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신약성서이해 I(New Testament Interpretation I)
신약성서 가운데 복음서와 이와 관련된 문헌을 읽는다. 석의적 접근을 통해 각 복음서의 신학적 특징과 메시지를 해석하며 복음서에 비쳐진 초기 그리스도교의 자기 정체성 및 발전의 과정을 삶의 자리를 통해 이해한다.
신약성서이해 II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II)
신약 성서 개론의 맥락에서 사도행전을 통해 원시 유대 기독교와 바울에 의한 초대 기독교의 이방 세계로의 확장의 역사를 배우고 바울이 교회와 개인에게 보낸 편지들을 통해 그의 사상과 신학을 이해하고 아울러 공동서신과 요한 문서들의 개괄을 다룬다.
신약석의방법론(New Testament Exegesis)
신약석의 방법론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신약원전을 신약석의의 여러 방법론을 사용해서 스스로 석의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에 있다. 주석자는 성서본문의 원어의 바른 뜻을 규명하고 그의 문학적인 양식을 분석하고 개념들의 종교사/전승사/사회사적인 흐름을 개관할 뿐만 아니라 그의 편집사적인 특징을 파악하므로 본문이 지니는 신학적 내용을 이해하는데 있다
신약성서배경사(Backgrounds of the New Testament)
신약성서는 유대교와 헬라세계의 만남에서 생겨난 역사적 산물이다. 신구약 성서의 중간사 (中間史)를 포함하는 1세기 전후의 헬라-로마 그리고 유대 사회의 정치 사회적 정황과 종교적 운동 그리고 생활상이나 관습 등을 연구하고 그것이 초대 기독교에 미친 영향들을 다루어서 신약 성경에 대한 피상적 이해를 극복한다. 따라서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종교적 정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된 다양한 서적을 읽고 파악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적이다.
예수의 비유연구(Parables of Jesus)
마태, 마가, 그리고 누가 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비유에 대하여 역사적 배경을 다룸과 동시에 신학적인 강조점과 석의와 함께 해석학적 이해를 추구한다.
마태복음 (Gospel of Matthew)
마태복음의 성격과 신학, 그리고 장별 내용과 메시지를 고찰한다.
누가복음 (Gospel of Luke)
복음이 팔레스타인을 넘어 세계로 뻗어가는 과정을 담은 누가복음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소외된 자들 향한 관심과 기도, 성령, 제자도와 관련한 다양한 신학적 이슈를 중심으로 장별로 누가복음을 세밀히 고찰한다.
옥중서신 (Prison Epistles)
이 과목은 전통적으로 옥중서신으로 분류되는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를 연구함으로써 바울의 고난의 생애에서 도출된 신학 사상, 그리고 초대 기독교 공동체에 관한 바울 후기 혹은 바울 학파의 사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특별히 옥중서신에서 부각되는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로마서 (Epistle to the Romans)
로마서 석의와 문맥을 통한 교리적 연구를 통하여 복음적인 진리를 찾으며 많은 신학자들이 본서에 깊이 관심을 갖게 된 이유와 그 내용을 비교 연구한다.
공동서신 (General epistles)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후서와 유다서를 중심으로 특정 지역에 매이지 않고 처한 상황이 다양한 교회 공동체를 향한 가르침을 각 서신서들의 삶의 자리와 연계하여 고찰한다.
사도행전(Acts of the Apostles)
사도행전은 초기 기독교의 역사와 신학에 관한 중요한 정보의 보고이다. 이 과목은 사도행전의 비평사, 내용, 관심사, 목적, 구조, 설교 등 개론적인 사항들을 개관하고 본문을 석의하며 그 신학적 의미를 밝힌다.
신약성서배경사(Backgrounds of the New Testament)
신약성서는 유대교와 헬라세계의 만남에서 생겨난 역사적 산물이다. 신구약 성서의 중간사 (中間史)를 포함하는 1세기 전후의 헬라-로마 그리고 유대 사회의 정치 사회적 정황과 종교적 운동 그리고 생활상이나 관습 등을 연구하고 그것이 초대 기독교에 미친 영향들을 다루어서 신약 성경에 대한 피상적 이해를 극복한다. 따라서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종교적 정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된 다양한 서적을 읽고 파악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적이다.
Q 연구: 공동체와 신학(Study on Q: Community and Theology)
Q이해는 공관복음서를 이해하는 하나의 가설이지만 공관복음서와 역사적 예수를 이해하는 가장 정당한 방법이다. Q 이해를 통해 하나님 나라의 역동성과 이해 직면한 사람들의 반응을 보고자 한다.
요한계시록(Revelation)
요한 계시록은 2천여 전에 주어진 보배로운 '묵시/예언'형태의 편지글이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이해는 계시록의 묵시 사상적 배경과 다양한 상징 언어(예, 666,144,000, 바벨론)와 신학적 메시지를 파악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비전으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무슨 뜻인가에 대해 참신하게 진술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줄 것 이다.
역사적 예수 연구(Historical Jesus)
역사적 예수에 대한 다양한 접근의 연구의 역사를 비판적 시각에서 살핀 후에 본문에 대한 구체적인 석의적 작업을 통해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역사적 예수 연구의 의의 및 방향성을 새롭게 조망할 것이라 기대한다.
요한복음(Gospel of John in Greek)
요한복음의 최근 연구 경향 및 그것의 목적, 배경, 신학적인 모티브, 진정성 등 개론적인 사항들을 개관하고 본문을 석의하며 그 신학적인 의미를 밝힌다. 각 본문에 대한 석의적 작업은 요한복음의 독특한 신학적 메시지를 던져줄 것이며 그러한 신학적 작업은 본문이해와 그에 따르는 번역에 대한 새로운 눈을 열어줄 것이다.
신약신학(N.T Theology)
신약성서의 역사적 배경과 문헌적 연구를 기초로 하여 예수가 전파한 하나님의 나라의 메시지와 신약성서의 중심적 메시지 및 초기 그리드도교의 태동과 교회의 발전의 모습을 연구한다.
예수와 하나님 나라의 복음(Jesus and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예수가 전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그 당시 사회경제종교적 환경에서 이해함과 동시에 네 복음서에 대한 통전적 해석 및 신약신학적 방법론적 해석을 시도한다. 이러한 이해는 역사적 예수와 신앙의 그리스도라는 이분법적 이해를 뛰어넘어 통전적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의 발전에 대한 초기 그리스도교의 역사를 이해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신약원전강독 I(Reading the Greek New Testament I)
이미 습득한 헬라어 문법 지식을 토대로 하여 신약성서의 중요한 헬라어 원문을 직접 읽는 훈련을 함으로써 성서 원문과 친숙하여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약원전강독 II(Reading the Greek New Testament II)
이미 습득한 헬라어 문법 지식을 토대로 하여 신약성서의 중요한 헬라어 원문을 직접 읽는 훈련을 함으로써 성서 원문과 친숙하여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약성서의 기독론(Christology in the New Testament)
신약성경은 통일성과 다양성의 융합으로 간주되는 바, 통일성의 기저에는 예수 그리스도, 곧 기독론이 자리잡고 있다. 전체적으로 신약의 기독론을 조망하되, 신약의 각 개별 책들이 다루는 기독론의 위치와 삶의 자리를 고찰한다.
성서적 리더십과 갈등해결(Biblical leadership & Conflict solution)
신구약 성경의 등장인물들이 경험한 갈등의 이슈를 살피고 현대적 갈등해결의 여러 이론들을 접목하여 토론들을 통하여 다양한 경험들을 경험하며 목회 현장에 필요한 갈등해결의 역량을 함양한다.
TOP

교회사

세계교회사(History of Christianity)
세계교회의 역사와 신학을 다룬다. “순교” “금욕주의” “수도원운동” “종교개혁” “경건주의운동” “선교” “에큐메니칼운동” 등의 주제별 연구를 통해, 불확실한 세상에서 신실한 삶을살았던 신앙인들의 삶과 신앙고백의 현재적 의미를 연구한다.
한국교회사(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을 다룬다. “역사의 어둠 짙었던” 한국 근현대사의 불확실한 세상에서 신실한 삶을 살면서, “이 땅에 생명탑을 놓아 갔던” 우리 신앙의 선배들의 삶과 신앙의이야기들을 통해, 부산장신대학교와 부산경남지역교회에서 신학하며 목회하는 우리의 정체성을 찾아본다.
영어신학강독(Readings on Christian Theology)
영어신학강독은 원서읽기를 통해 전공분야의 일차자료들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그 목표가 있다.
초대교부들의 신학(Theology of the Early Church Fathers)
교회의 시작으로부터 그레고리(Gregory the Great)에 이르기까지의 초대교부들의 삶과 신학을 연구한다.
루터와 칼빈의 신학(Theology of Luther and Calvin)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와 존 칼빈의 역사적 배경과 신학을 그들의 저술을 통해 연구한다.
개혁교회의 역사와 신학(History and Theology of the Reformed Church)
오늘날 장로교인이 된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개혁주의신앙고백을 중심으로 세계개혁교회의 역사와 신학을 연구한다.
중세교회사 (Medieval Church History)
경건주의와 선교 (Pietism and Missions)
호주교회의 한국선교 (Australian Mission in Korea)
복음주의적 부흥운동과 선교 (Evangelical Revivalism and Mission)
유럽의 경건주의운동과 북미의 복음주의적 부흥운동이 근대선교에 끼친 영향을 교회사적인 배경과 신학을 통해 연구한다.
북미기독교의 역사와 신학(History and Theology in North America)
미국과 캐나다교회의 역사와 신학 그리고 한국에 온 초기선교사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북미기독교가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을 탐구해 본다.
동방정교회사(History of Eastern Orthodox Church)
콘스탄티노플의 천도(330)로부터 그 함락(1453)에 이르기까지의 동방교회의 역사와 신학 그리고 직제와 예전의 변화를 다룬다.
로마가톨릭교회사(History of Roman Catholic Church)
트렌트공의회(1545-1563)로부터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까지의 로마가톨릭교회의 역사와 신학 그리고 직제와 예전의 변화를 다룬다.
동아시아교회사(History of Christianity in East Asia)
중국과 일본의 기독교역사를 연구한다. 또한 중국과 일본교회와 한국교회의 관계사를 통해 상호 끼친 영향을 분석하고, 에큐메니칼 차원에서의 바람직한 관계를 모색한다.
부산경남교회사(Workshop in History of Christianity in Busan)
부산경남지역 개교회의 역사와 그 교회사적 의의를 우리 지역의 대표적인 교회들에 대한 현장방문을 통해 탐구한다.
북한교회사(History of Christianity in North Korea)
해방이후 북한의 교회사를 다룬다. 공산정권 수립과 한국전쟁으로 인한 북한교회의 변화를 연구한다.
기독교 성지 연구(Sacred Place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한국교회사 관련 기독교 유적지에 대한 교회사적 접근과 현장답사를 통해 연구한다. 특히 서울지역과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에큐메니칼운동사(History of Ecumenical Movement)
초대교회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교회분열”과 “일치를 위한 노력”의 역사를 살펴보고, 20세기 들어 본격화된 교회연합운동의 역사와 신학을 연구함으로써, 지역 차원의 교회연합운동을모색해 본다. (Think Globally, Act Locally).
기독교이단연구(History of Christian Heresies)
한국교회와 사회는 “공신력 있는 이단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과목은 (1) 이단에 대한 개념 정립 (2) 이단에 대한 교회사적 신학적 연구 (3) 세계의 이단현황 및 연구동향(4) 특히, 한국전쟁을 전후로 하여 부산경남지역에서 발흥한 기독교관련 신흥종교운동들을 집중 탐구한다. 이를 통해, 이단의 도전에 대한 신학적, 목회적, 사회적 차원의 응답을 시도한다.
기독교와 가족(The Family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교회사에 나타난 가족(the family)의 신학적 의미와 그 역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점점 불확실해져가는 현대가족문제의 기독교적 답변을 시도해본다.
교회사원전강독(Enghish Historical Documents)
교회사의 중요한 자료들에 대한 원문연구를 통해, 일차사료의 연구방법을 배운다.
라틴어초급(Basic Latin)
라틴어원전강독을 위한 기본 문법을 배운다.
라틴어중급(Advanced Latin)
라틴어 고전에 대한 강독을 통해 교회의 역사와 신학을 연구한다.
루터와 종교개혁(Luther and The Reformation)
유럽 종교개혁의 선구자인 루터의 종교개혁에 대해 연구한다. 독일에서 종교개혁인 시작한 배경과 루터의 신학사상에 대해 연구한다.
기독교강요 영어/라틴어 원전강독(Reading the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칼빈의 『기독교강요』 라틴어 원전에 수록된,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교회, 국가에 대한 칼빈의 주요 신학사상을 영어번역과 비교하여 연구한다.
한국교회와 전통문화(The Korean Church and Traditional Culture)
한국 개신교의 전통문화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함께 그 대안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부산경남지역 목회현장에 대해 적용한다.
개혁주의신앙고백과 한국교회(Reformed Confessions and the Korean Church)
한국장로교회의 관점에서 개혁주의신앙고백의 역사와 신학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한국장로교회의 정체성의 확립을 시도한다.
TOP

조직신학

조직신학개론(Introduction to Systemic Theology)
기독교 신학의 주요 내용인 계시론, 신론, 그리스도론, 성령론, 삼위일체론, 예정론, 창조론, 인간론, 죄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등을 기독교 전통과 오늘의 상황과의 관계 속에서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스도론(Christology)
기독교 신학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그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의 의미, 역사 속에서의 그리스도 이해, 현대 신학에서의 그리스도 이해 등을 총체적으로 다룬다.
칭의와 화해(Justification and Reconciliation)
하나님이 옳다고 인정하시는 의와 우리를 위해 행동하시는 그 분의 화해의 관점에서, 현실을 바르게 재구성하는 신학적 인간론과 사회론의 기본적 논리를 배운다. 이 시대에 건강한 삶의 이상이상실된 것은 이 주제의 망각으로부터 야기된 측면이 지대한 것처럼 보인다.
교회와 종말(Ecclesiology and Eschatology)
교회론에서 개신교 신학의 독특성이 가장 많이 드러난다. 교회성립의 신학적 기초와 역사적 발전, 최근의 논의 등을 공부한다. 기독교 신앙의 기다림을 표현하는 종말론은 교회에 빈번한 혼동을일으켜왔다. 기독교 종말론의 의미, 논의의 역사, 최근 종말론의 신학화 등을 다룬다.
영어신학강독(Christian Theology Readings English)
영어신학 강독I은 원서읽기를 통해 신학의 일차자료들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그 목표가 있다.
독어신학강독 I , II(Christian Theology Readings German I , II)
독어신학 강독I은 신학원서 읽기를 통해 신학의 일차자료들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그 목표가 있다.
종교개혁신학(Reformation Theology)
루터와 칼빈을 중심으로 한 개혁자들의 신학과 그 유산을 연구한다. 종교개혁은 비단 16세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신앙의 본질이 혁명적으로 구현된 사건이라는 맥락에서 역사적 신학적으로다룬다.
신학과 성서이해(Theology and Bible)
성서를 이해하는 방법 자체에 이미 신학적 견해가 결부되어 있다. 성서를 이해하는 기술과 방법에 관련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성서읽기와 올바른 신학적 견해 형성을 촉진한다.
신론 연구(Doctrine of God)
기독교 신학에서의 신론의 위치와 중요성을 신인식의 문제, 유신론, 삼위일체론, 하나님의 전능과 악과 고통의 문제등과 연관하여 다룬다.
현대 기독론 연구(Contemporary Christology)
현대 신학의 그리스도 이해를 연구하되 칼 바르트, 폴 틸리히, 칼 라너, 해방신학, 여성 신학, 과정 신학, 종교 신학 등에서의 그리스도 이해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성령론(Pneumatology)
전통 교의학에서의 성령의 위치, 성령의 사역 및 성령의 은사 뿐 아니라 오늘날의 인간성 상실, 사회정치적 불의, 생태학적 위기 등의 현실문제와 관련된 신학적 성령론들을 다룬다.
구원론(Soteriology)
전통적인 주제인 칭의, 성화, 중생, 속죄 등과 연관된 구원의 교리를 배우고, 정치사회적 현실에서의 부자유와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주제화하는 다양한 구원이해들을 비교 연구한다.
칭의론 연구(Doctrine of Justification)
다양한 학자들의 칭의론을 그들의 문제의식과 더불어 가능한 일차문헌을 가지고 다룬다. 칭의론은 조직신학의 모든 세부적인 항목들이 이 주제로 재구성되어야 할 만큼 폭넓은 차원을 지니고 있음이드러난다.
화해론 연구(Doctrine of Reconciliation)
화해론은 인간들 사이의 갈등을 화해케하는 궁극적인 기초로서의 하나님의 화해를 가르친다. 화해는 본래적으로 하나님의 행동이다. 이 하나님의 행동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신학적 이론들을역사적이고 구조적으로 살펴본다.
기독교와 인간(Theological Anthropology)
기독교적인 인간 이해를 다른 인간 이해와 비교하면서 다룬다. 특히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죄인으로서의 인간, 남성과 여성으로서의 인간, 의식과 무의식으로서의 인간 등을 중점적으로다룬다.
창조론 연구(Study for Geneses theory)
교회론 연구(Ecclesiology)
교리사적 전통에서의 교회론에 관해 살펴보고 종교개혁에 의해 제시된 개신교적 교회이해와 아울러 현대사회에서의 교회론의 의미를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측면에서 살핌으로 뚜렷하고 건강한 교회상을지니게 한다.
종말론 연구(Eschatology)
전통적인 개인 종말론 뿐 아니라 역사적 생태학적 종말론 등을, 성서에 제시된 하나님 나라 사상의 빛에서 다루고, 20세기 후반부터 나타나는 종말론적으로 구상된 신학의 흐름을 원 자료를기초로 해서 살펴본다.
신학적 사회이론(Theological Sociltheoty)
전통적인 신학의 범주에 사회론은 들어있지 않다. 그러나 늦게 형성된 개념으로서의 사회에 대해 성서와 신학은 이미 함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삶의 질서와 사회전반에대한 전망을 세우는 신학적 논의들을 사회이론과의 긴장관계 속에서 깊이 있게 다룬다.
기독교와 현대 사회(Christianity and the Contemporary Society)
급변하는 우리 시대의 주요한 특징들을 조망하면서 기독교 신학과 교회가 거기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를 함께 연구한다.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학(Theology and Postmodernism)
포스트모던 시대가 도래 했다고들 말한다. 이 시대현상의 주된 특성들을 알아보고 그것이 오늘과 내일의 한국 교회와 신학에 의미하는 바를 같이 연구한다.
개혁 신학 세미나(Seminar on the Reformed Theology)
개혁주의 신학전통의 역사적 이론적 기초와 그 대표적 학자들의 신학적 주장을 쯔윙글리, 칼빈, 불링거, 녹스, 바르트, 몰트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기독교 신학사 I(History of the Christian Theology I)
고대에서부터 종교개혁 이전까지의 주요한 신학적 경향들과 인물들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다룸으로써 오늘에 이르는 신학적 주요 흐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기독교 신학사 II(History of the Christian Theology II)
기독교 신학의 역사와 주요한 신학적 인물들을 종교개혁 이후로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체계적으로 다룸으로써 오늘날에 이르는 신학적 주요 흐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현대신학 연구(Contemporary Theology)
칼 바르트 이후 1960년대까지의 현대 신학의 흐름을 사회변동의 특성과 아울러 주요한 신학경향들과 신학적 주제들 그리고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최근신학동향(Theology after 1960s)
1960년대 이후의 해방신학, 여성신학, 과정신학, 종교신학, 탈자유주의 신학, 이야기 신학, 생태계 신학 등의 다양한 최근의 주요한 신학 흐름을 연구한다.
어거스틴 신학(A Study of st. Augustine)
중세 교회의 토대를 놓았을 뿐 아니라 종교개혁과 개혁주의 전통 속에 생생하게 살아있는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의 주요 특성들과 그것이 가지는 현대적 의미를 일차문헌을 중심으로 심도 깊게다룬다.
칼 바르트 신학(Karl Barth)
변증법적 신학자로서 신정통주의의 선구자인 칼 바르트의 생애와 신학을 주로 일차문헌을 통해서 연구한다. 신학의 본래성과 전체성을 새롭게 조망하는 신앙의 합리성을 학문적으로 배우게 된다.
폴 틸리히 신학(A Study of Paul Tillich)
20세기의 탁월한 변증 신학자 폴 틸리히의 신학을 연구한다.
신학과 신학자들(Theology and Theologians)
매학기 서로 다른 주요한 신학적 주제와 신학자를 택하여 함께 연구한다.
한국신학 세미나(Korean Theology Seminar)
한국 교회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전통종교와 문화, 아픈 역사·정치적 경험과의 긴장관계 속에서 신앙고백적으로 형성 발전 되어 온 한국의 신학사상을 일차적 문헌을 중심으로연구한다.
아시아 신학(Asian Theolgies)
중국과 몽골 일본과 동남 아시아의 사회와 교회의 현실을 신학적으로 조망함으로써, 이 지역에서의 교회형성과 선교를 위한 기초적 이해를 돕는다.
타종교와의 대화(Dialog with Other Religions)
기독교적인 종교들 뿐 아니라 중동의 유대교 이슬람교, 인도의 불교 힌두교, 중국의 유교 도교 등 세계종교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화의 가능성과 노력에 관련된 주장과 이론들을 살핀다.
근대독일 신학(Study of German Theology)
개신교 신학의 중심지로 오랫동안 자리 잡아온 독일 신학의 역사와 주된 특성 및 대표적인 학자들의 사상을 특히 근대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문헌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미국 신학( A Study of the American Theology)
한국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쳐온 미국 교회의 신학적 특성들을 전체적으로 조감한다.
북미 교회의 역사와 신학(Christianity in North-American Christian)
미국과 캐나다의 주요한 종교 신학 운동과 대표적 학자들을 소개하고 그것이 오늘 한국 교회와 신학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탐구한다.
여성신학(Feminist Theology)
현대신학의 중요한 운동의 하나인 여성 신학을 그 대표자들과 주요 주제들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함으로서 한국여성신학의 이론의 토대를 모색한다.
에큐메니칼 신학 연구(A Study of Ecumenical Theology)
세계 기독교회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신학적 노력을 심도 있게 살필 뿐 아니라, 동양종교 문화 전통 속에 성장한 교회경험으로 세계교회와 인류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안목과 능력을 갖추게한다.
신학과 철학(Theology Philosophy)
철학과 신학이 맺는 관계를 연구하고 보다 효율적인 신학 공부를 위해 필요한 철학적 기초 이론과 사상적 틀과 흐름을 익히도록 한다.
해석학과 비판이론(Hermeneutics and Critical Theory)
오늘날 신학 연구 방법론은 해석학과 비판이론에 의해 야기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방법론의 발전에 의해 도전받고 있다. 해석학과 비판이론의 주요경향들을 이해함으로써 타학문 분야에 대한신학적 대화능력을 높이고 신학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과학과 신학(Natural Science and Theology)
현대는 과학기술의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과학의 발전과 전제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하고 대화할 것인가를 연구한다.
신학적 미학(Theological Aesthetics)
신학적 미학은 각종 종교예술 뿐 아니라 삶의 전 영역에 걸친 심미적 차원을 신학적 주제로 부각시킨다. 신학에서 또한 진리와 선함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아름다움은 본래 무엇이며 어떤 신학적의미를 지니는지 간학문적 연구의 방식으로 연구한다.
신학적 학문이론(Theologics Wissenschaftstheorie)
일반학문과 관련하여 신학은 무엇인가? 근대 대학교육이 정착되면서 언제나 신학의 학문성에 관련된 문제는 서구학계의 화두였다. 척박한 한국 신학상황에서 이 문제는 더욱 절실하게 제기된다.학문 이론적 신학의 개념 역사 이론 논쟁사 등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창조와 기다림의 신학(Theology of Creation & Waiting)
본회퍼신학-에큐메니즘(Theology of Bohnhoeffer - Ecumenism)
20세기 신학과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 본회퍼의 에큐메니즘과의 연관 속에서 연구한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 읽기(Introduction to Christian Doctrine)
장로교 신학의 모태요 정수라고 할 수 있는 요한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강독함으로서 개혁교회 전통의 넓이와 깊이를 연구하며 그 것이 오늘 한국 교회와 사회에 갖는 의미를 탐구한다.
비교종교론(Comparative Religious Study)
세계의 다양한 종교들의 주된 특성들을 기독교 신앙의 내용과 비교하면서 공부함으로서 다른 종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건강한 대화와 복음 선교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계시와 이성(Revelation and Reason)
기독교 신학이 말하는 하나님의 계시와 인간 이성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서 그 것이 가지는 신학적, 목회적, 대 사회적 의미를 탐색한다.
현대철학과 기독교신학
19세기 말과 20세기의 주요한 철학자들인 스피노자, 니체, 키엘케골, 하이데거,사르트르, 푸고, 데리다, 들뢰즈, 하버마스, 칼 포퍼의 철학 사상을 개관하고 그 사상들이 기독교 신앙과신학에 던지는 시대사적 질문과 함의를 포착한다.
기도론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기도는 가장 친숙한 행위 중 하나면서도 기도만큼 잘못 이해되거나 실천되는 것도 흔치 않을 것이다. 기도가 전능하신 하나님께 구하는 것일뿐만 아니라 그와의 대화라고한다면, 기도는 아멘으로 끝나는 일방적인 독백이 아니라, 하나님께 듣는 것을 뜻하며, 듣는다는 것은 나의 뜻만 주장하는 게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순함으로서 나의 뜻이나 소원이 이뤄지는 게궁극적 목적이 아니라, 그의 뜻이 이뤄지는 것을 뜻하며, 기도는 이 뜻을 이루기 위한 교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하나님의 통치에로의 참여이다. 개인적인 간구는 개인적인 소원성취를 넘어선공동체와 하늘의 뜻을 이루는 것으로서의 간구일 뿐이다.
기독교성서론
개신교 신앙과 신학에서 가장 중시 강조하고 있는 것이 성서인바, 성서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 개혁사상가들의 성서관 등을 분석/살펴봄으로서 성서의 오늘의 신앙적 신학적 의미를 규명한다.
신학과 인문학으로 영화읽기
오늘 날 가장 강력한 매체의 하나는 영화이다. 이 과목은 문제가 되는 영화들을 같이 본 후 그것들을 통해 드러나는 신학적, 인문학적 주제들을 탐구한다.
기독교신앙론
신앙의 비중을 인간의 반응(수용, 인식, 승인,신뢰, 앎등)에 두는 것은 매우 비성경적이다. 신앙의 근간은 예수 그리스도안에서의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구원행위란 관점에서 보면 신앙은인간의 반응의 문제이전의 것으로서, 하나님의 창조 이전의선택에로 거술러 올라가서 해석해야 한다. 믿음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령을 통한 하나님 주도적 은혜로 시작해서 진리로 끝나는문제 곧 믿음은 '예수 로부터 예수에게로'의 문제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가 창조하신 세계를 아우르는 '예수로부터 세계속으로' 함축하며, 이것은 모든 이원론과 종교의 폐지를 뜻한다
TOP

기독교윤리

기독교윤리학(Christian Ethics)
기독교윤리학의 이론적 토대와 응용적인 문제들을 다룬다.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윤리와 존재 중심의 윤리의 흐름을 정리하고 윤리적 물음의 정당화를 시도하는 메타윤리를 소개한다. 응용적인영역에서는 폭력, 전쟁, 평화, 섹슈얼리티, 경제 등의 윤리적 문제를 다룬다.
영어신학강독(Christian Theology Readings in English)
영어신학강독은 원서읽기를 통해 전공분야의 일차자료들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그 목표가 있다.
기독교 생명윤리(Christian Bio-medical Ethics)
생명의 의미, 신성성과 존엄성을 재검토하고 생명을 다루는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며 생명과학 또는 생명공학으로 인해 발생되는 윤리적인 문제들을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기독교 생태윤리(Christian Ethics of Ecology)
오늘날 생태계 위기는 그 긴박성과 범위에 있어서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한 그 어떠한 위기와 성격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변화된 상황 속에서 기독교 신앙의 내용을 적절히 해석하고제시해야할 과제가 있다 하겠다. 따라서 기독교 신학에 기초한 생태윤리의 싹을 키우고 발전시키며, 우리 시대에 요구되는 공공정책과 행동양식을 형성하기 위해 윤리에 내포되어야 할 주요한의미를 찾고자 한다.
성서윤리(Biblical Ethics)
성서와 윤리학의 관계를 규명하고, 성서윤리의 방법과 과제를 검토해 봄으로써 성서적 신앙의 관점에서 윤리적 원리와 도덕적 실천문제를 분석한다.
기독교 경제윤리(Christian Ethics on Economy)
기독교 경제윤리를 뒷받침하는 신학적, 경제적 원리를 해명하고자 한다. 경제윤리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 판단하고 결단을 내릴 때 신앙에서 비롯된 인간성에서 정초한 “인간적”인 것의 요청과합리적으로 사실적합한 것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조건에 대해 모색한다. 신학적 토대위에서 사회 윤리적 관점을 확립하고 나아가 시장경제, 세계경제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한다.
기독교 페미니즘 윤리(Christian Feminist Ethics)
페미니즘 윤리는 전통적으로 타자에 의하여 해석되어 왔던 여성의 정체성과, 여성 자신이 스스로 경험하고 살아온 삶을 통하여 형성한 자신의 정체성 사이의 불균형을 인식케 하는 것이며, 현대윤리적 이슈를 다루는 전통적인 윤리이론에 대해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작업이다.
에큐메니칼 윤리(Ecumenical Ethics)
기독교와 대중문화(Christianity and Mass Culture)
현대 문화를 지배하고 있는 대중문화를 읽어내는 제 이론들을 공부하고, 그것의 기독교적 적실성을 검토할 것이며, 이를 통해 현대 소비대중문화를 분석?비판?수용하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기독교와 미래학(Christianity and Futurology)
미래학이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학문으로서 인간생활과 세계에서의 가능한 변동을 찾아내어, 비교분석하고, 평가하려는 활동의 한 분야로 확정된 상태를 설명하거나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전개될 역사를 조심스럽게 내다보고자 하는 과학이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미래학자들의 저술을 통해 그들이 이해하는 미래를 기독교윤리적으로 재조명한다.
기독교와 과학(Christianity and Science)
20세기 이후 현대과학은 양자론과 상대성이론의 출현으로 인해 과학 스스로 독선과 오만을 버리고 종교와의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과학과 기독교가 새로운 세기에는 더 이상 갈등과 반목의관계가 아니라 각자의 고유한 영역을 수행하면서 상대방의 영역을 인정하는 대화의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여기서는 이 같은 흐름이 같는 사상사적 의미를 기독교윤리적으로 조명하고 과학과기독교의 올바른 위상을 정립하는데 단초가 되고자 한다.
리더십과 문화(Christian Leadership and culture)
문명의 전환에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했던 사상가 또는 실천가들의 생애와 사상을 연구한다. 동서양의 현대 정치, 경제, 교육, 종교, 예술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낸 사람들이 발휘한 리더십을집중적으로 연구할 것이며, 그러한 것들은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할 것이다.
종교사회학(Religious Sociology)
사회계층, 정치사회학, 공동체 연구, 사회적 합의와 갈등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를 위해 종교집단과 종교행위를 다루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제에서 종교가 다른사회적 현실에 미치는 영향과 종교에 미치는 사회적 제 요인의 영향에 대하여 논구한다. 종교사회학은 종교의 보편성과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종교가 사회와 개인들을 위해 무엇을기능하는가, 즉 종교가 어느 정도로 성원들로 하여금 사회에서 효율적으로 행동하게 하는가, 또는 역기능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사회내의 잡다한 종교신념과 종교관행을 설명할 것인가,종교는 세속적 신념과 세속적 집단, 즉 정치 경제 계급 및 가족집단에 어떻게 관계되어 있는가 등을 논의한다.
기독교사회윤리의 제문제(Issues of Christian Social Ethics)
사회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기독교적 대안을 모색해 본다.
기독교 성윤리(Christian Sexual Ethics)
현대사회문화의 가장 큰 문제중의 하나인 성문제를 다루기 위해 특히 프로이트 이후의 다양한 성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것의 기독교 윤리적 적실성을 검토한다. 간음, 자위, 동성애,포르노그라피, 매춘 등의 성 문제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한계를 논의한 다음 합리적인 이해의 모색을 시도한다.
목회와 윤리(Ministry and Ethics)
기독교와 문학(Christianity and Literature)
본훼퍼 윤리특강(Seminar on Bonhoeffers Ethics)
기독교윤리와 동양사상(Christian Ethics and Oriental Thought)
본 강의를 통해 탈식민지 담론 형성에 기여하고 기독교윤리의 주체성을 회복하고자 한다. 한국 기독교 윤리학의 꼴과 틀을 전제로 하는 신학 윤리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에 먼저는 한국문화와 사회의 틀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 나갈 것이며, 동시에 서구 신학 자체의 틀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더듬어 나갈 것이다.
기독교윤리와 해석학(Christian Ethiics and Hermeneutics)
해석학이란 그 전개과정이나 심화과정, 특별히 고민스러운 부분을 캐려 애쓰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즉 ‘철학적 문제의식의 심화과정’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진실이 아테네시민들에게는 불편한 진실이 되었던 것처럼, 철학이나 신학은 그 사고가 등장한 여건이나 맥락을 고려하지 않을 때 피상적 논의가 되기 쉽다. 본 강의에서는 먼저 철학적 문제에서 그 심화과정을- 슐라이어마허, 딜타이, 하이데거, 기다머, 리꾀르, 하버마스 등을 중심으로 -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논의를 우리의 삶의 자리에서 기독교윤리적으로 성찰할 것이다.
정의와 공동체 생활(Justice and Life of Community)
자본주의와 그리스도인의 책임(Capitalism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Christian)
생태 환경의 문제는 우리에게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당위의 문제일 뿐 아니라 매우 급박한 문제다. 생태환경문제의 근본에는 자본주의가 있다. 자본주의의 기본은 무한경쟁과 무한생산이다.경쟁적으로 만들고 팔고 남는 것은 폐기 시칸다. 본강의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찾고 자본주의의 본래 정신을 찾기 위해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을 공부할 것이다.
기독교 윤리와 현대철학
이 과목은 <기독교윤리학의 기초>의 후속과목이다. 칸트 이후의 서양철학의 기본 개념들을 학습함으로써 기독교 윤리학의 토대를 튼튼히 하고자 한다. 기독교윤리학에 관심하거나 공부를해야하는 신학도들의 이론학습을위해 유용한 강좌가 될 것 이다.
기독교윤리와 현대철학Ⅱ
본 강의는 독일과 프랑스의 현상학과 해석학, 그리고 2차대전 이후 프랑스의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등 20세기 서양철학 전반을 다루게 될 것이다.
예수의 윤리
그리스도인의 삶의 규범은 성서다. 그리고 성서의 규범은 예수 그리스도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규범과 기준은 역사적 예수이다. 본 강의는 역사적 예수의 복음적 삶을 이해함으로써 예수의기독교를 회복하는 성찰의 시간을 갖고자 한다.
사랑,성,몸 그리고 윤리
현대사회문화의 가장 큰 문제중의 하나인 성문제를 다루기 위해 특히 프로이트 이후의 다양한 성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것의 기독교 윤리적 적실성을 검토한다. 간음, 자위, 동성애,포르노그라피, 매춘 등의 성 문제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한계를 논의한 다음 합리적인 이해의 모색을 시도한다.
TOP

예배와설교

설교의 실제(Preaching Practicum)
설교학 개론을 이수한 학생들이 기초 이론과정에서 습득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로 설교를 준비, 실행하는 과목이다. 수강생들은 참신한 설교의 아이디어와 성실한 석의, 그리고 신선한설교의 메시지의 구성과 전달에 대한 깊은 주의를 기울이도록 요구받게 된다. 평가는 동료 수강생들과 지도 교수가 함께 하며 설교자는 설교가 끝난 즉시 받게 되는 video Tape에 녹화된자신의 설교모습을 보며 자신의 설교를 평가하도록 한다. 본 과목은 신대원생의 필수 과목으로 목회실습 IV(설교의 실제 PT 630)의 과목으로 표시된다. 신학대학원 2학년 2학기 목회필수 과목이다.
설교학 개론(Introduction to Homiletics)
하나님의 말씀을 오늘의 언어로 회중들에게 선포하고 해석하고 적용시키는 설교사역은 어떤 사명과도 바꿀 수 없는 목회자의 고유한 사역이다. 그러므로 장래의 설교자가 될 학생들에게 설교에필요한 이론과 정보에 대한 학습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본 과목에서는 우선 현장에 필요한 설교의 기초 이론을 습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설교의 신학적, 성서적, 역사적연구와 더불어 실제적인 설교의 준비와 구성, 다양한 스타일, 설교의 전달 등에 대한 강의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설교학의 기초과목으로 신대원 학생들이 반드시 거쳐야하는 필수적 과목이다.
예배학 개론(Introduction to Christian Liturgies)
기독교 예배를 이해하는 기초과정으로 예배에 대한 신학적(theological), 성서적(biblical) 연구와 더불어 예배의 역사(historical)와 실제적(practical)문제들에 대해 공부하는 과목이다. 장차 예배의 집례자로 나설 학생들에게 예배의 의미에 대한 확신과 그 이론에 대한 지식의 습득은 필수적이라 아니할 수 없다. 본 과목은 예배학의제반분야들의-주일예배순서, 성례전과 인생행로의 예식들, 설교, 교회력, 예배음악, 교회건축 등― 기초적인 이론들을 습득하고 그 실행과 관련한 실제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설교의 역사(History of Preaching)
설교의 역사는 교회의 역사와 함께 존재해 왔다. 이 장구한 역사 속에서 설교는 어떻게 시행되었고 발전되어왔는지를 알아본다. 특히 오리겐, 크리소스톰, 어거스틴을 비롯하여, 루터 칼뱅,그리고 현대의 빌리그래함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생애와 신학을 설교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들이 남긴 설교들을 직접 읽고 설교하여 기독교의 위대한 설교가 들의 장점과 단점을 연구하는 하도록한다.
논리학과 설교(Logics and Christian Preaching)
인간을 설득하는 데 있어서 “논리적” 이라는 무기보다 더 좋은 무기는 없다. 설교 역시 인간을 설득하는 기능을 포함하므로 논리적일 필요가 있다. 본 과목은 설교를 논리적인 관점에서연구한다. 특히 고대의 수사학, 현대의 논리학의 이론 등을 바탕으로 하여 자칫 범하기 쉬운 설교의 논리적 함정의 유형을 파악하고 실제로 보다 나은 논리적 설교가 어떠해야 할지에 대하여연구한다.
성경에서 설교까지(Bible & Preaching)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며, 그 말씀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전해져야 한다. 하지만 문화적, 역사적 배경의 다양성으로 인해 해석의 대상이 된다. 설교는 성경에 담긴 하나님의 메시지를 문화적특수성에서 본 의도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개인과 공동체에 전하는 현실적 메시지이다. 본 강의는 성경의 방법론과 핵심적 메시지를 해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성례전 연구(Study of Christian Sacraments)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이 바르게 선포되고 성례전이 바르게 집행되어지는 곳이다. 그러므로 개신교 예배는 말씀과 성례전이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본 과정은 성례전을 일반적, 신학적, 성서적,그리고 역사적 측면에서 그 의미와 발전과정을 연구한다. 그리고 성례전의 실제적 문제들을 다루어 학생들로 하여금 장차 성례전을 집례 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훈련한다. 본 과목 역시성례전에 대한 기초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교회력과 예배(Liturgical Year and Christian Liturgy)
교회력은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받은바 은혜를 계속적으로 기억하게 만들어 주는 시간적 틀이다. 이러한 교회력은 년 주기(annual cycle)와 주주기(weekly cycle),그리고 일주기(daily cycle)로 나누어지는데, 본 과목은 이러한 교회력의 신학적 의미와 그 역사적 발전 과정에 대하여 공부하며 이에 따른 예배와 설교의 주제들을 교회에서 어떻게다룰 것인가에 대하여 공부한다. 본 과목 역시 교회력의 기초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찬송가학(Hymnology)
회중 찬송가에 대한 역사적, 신학적, 예배학적, 문학적, 성서적, 음악적인 연구를 통하여 찬송가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특별히 미래의 목회자들이 알아야 할찬송가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과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찬송가의 사용 방법 및 창작, 비평, 교육 등에 대하여 연구하는 과목이다. 교회음악의 기초과목으로 신학생들이 반드시 습득하여야할 과목이다.
현대 설교론(Introduction to Contemporary Preaching)
본 과목은 설교학의 기초 이론을 이수한 학생으로서 좀 더 향상된 설교의 이론을 공부하는 하려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특별히 현대 설교학의 다양한 이론들에 대하여공부하며, 설교의 다양한 형태들-분석, 대지, 주제, 귀납, 이야기, 설화, 강해설교 등-에 대하여 보다 깊이 공부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설교와 커뮤니케이션, 설교 패러다임의 변화 등에대하여 공부하게 된다.
구약과 설교(Old Testament and Preaching)
본 과목은 설교학과 구약학의 연계과목으로 구약 성서의 석의와 주해의 과정을 보다 깊이 연구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메시지를 가지고 여러 가지 스타일의 설교를 준비, 실행하는 전 과정을다룬다. 구약학 교수와 설교학 교수가 함께 진행하는 공동수업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히브리어를 공부하고 설교학 개론을 공부한 학생들에게만 수업이 허용된다.
신약과 설교(New Testament and Preaching)
본 과목은 설교학과 신약학의 연계과목으로 구약 성서의 석의와 주해의 과정을 보다 깊이 연구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메시지를 가지고 여러 가지 스타일의 설교를 준비, 실행하는 전 과정을다룬다. 신약학 교수와 설교학 교수가 함께 진행하는 공동수업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헬라어를 공부하고 설교학 개론을 공부한 학생들에게만 수업이 허용된다.
설교와 커뮤니케이션(Sermon and Communication)
설교는 단지 성경에 대한 해석이 아니라 회중들에게 읽히고 들려야 할 대상이다. 본 강의는 회중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해석과 전달 방법을 연구한다.
예배의 실제(Worship Practicum)
초기 목회 생활에서 목사는 각종 예배를 집례 함에 많은 시행착오를 가져오는 사례가 적지 않다. 본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기독교 예배의 순서를 만들고 집례 하는 능력을 키워주는데목표가 있다. 올바른 신학적 토대아래서 주일예배와 더불어 다양한 예식들―결혼, 장례, 절기 등―에 대해 연구하고 집례 하도록 함으로써 예배 집례자로서의 자신감을 갖게 하려는 것이다. 본과목은 예배학 개론을 이수한 자에 한하여 수강토록 한다.
교파별 예배 연구(Rites and Ceremonies of the Churches)
어떻게 드리는 것이 올바른 기독교 예배인가? 교회의 역사 속에는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 예배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나름대로 그 정당성과 가치성이 인정되고 있다. 본 과목은 예배를 유형적으로접근하여 다양한 기독교 예배들을 연구하고 그 가치와 문제점들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본 과목을 통하여 다양한 교파들의 예배를 이해하고 본 교단의 예배의 독특성을 보다 분명히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배와 종말(Worship & Eschatology)
예배는 하나님의 나라를 먼저 맛보는 사건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주어진 구원의 약속이며 그것을 경험하기 위한 형식이다. 현대 문화에서 사라지는 종말적 메시지를 예배 안에 담을 수있는 방법과 형식들을 본 강의에서 다룬다.
장로교 예배(Presbyterian Worship)
장로교 예배의 신학과 역사에 대해서 연구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은 칼뱅(J. Calvin)으로부터 시작된 장로교 예배의 독특성과 신학, 그리고 그 발전과정에 대하여 공부한다. 또한 현대장로교회의 예배와 관련한 다양한 예배문서들― 예배서, 예식서, 예배모범 등―을 집중 연구하여 장로교 예배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과목은 예배학 개론을 이수한 자에한하여 수강토록 한다.
포스트모던시대속에서 본문 설교하기(Textual Preaching in Post-modern)
모더니즘의 문자적, 선형적 문화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상황적, 다원적 문화로의 전환은 현 시대의 도전이다. 특히 기독교는 복음이라는 메타언어를 놓지 않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에서 하나님나라를 실현해야 할 도전에 직면했다. 현실적 도전을 가장 잘 극복할 방법은 성경의 본문에 대한 온전한 이해이며 현실에서의 정확한 해석과 적용이다. 본 강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속성을이해하고 성경 본문이 지적하고 이해하는 하나님의 뜻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것이다.
종교개혁과 설교
개신교는 종교개혁의 전통위에 서 있다. 그러므로 종교개혁의 사상과 신학을 이해하지 못하면 개신교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올바른 설교와 목회를 감당할 수 없다. 이에 종교개혁 500주년을맞이하는 2017년도에 종교개혁의 정신과 설교를 더듬어보는 것은 위기를 맞이한 한국교회와 강단의 회복에 의미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종교개혁은 거대한 왕국과 같은 로마교황청의부패에 대한 저항으로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더 근본적으로는 ‘복음의 본질 회복’, ‘말씀의 재발견’, ‘설교의 회복운동’이다. 이에 “교회사는 설교사이다”라는 다간(E. C.Dargan)의 말과 같이 지금까지 이론신학의 거성으로만 이해되어왔던 루터, 칼빈(깔뱅) 등의 종교개혁자들을 ‘설교신학’적인 관점으로 그들의 설교사상을 연구하고 종교개혁 정신을 가지고직접 설교를 시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교 예배와 음악
기독교 예배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비언어적 전달과 영성적 감동을 위한 음악적 요소들을 강의와 실습을 통해 배운다.
설교전달론
복음의 메시지를 글로 구성하고 말로 전달하는 과정을 발표와 평가를 통해 향상시킨다.
목회와 리더쉽
사람들의 욕구와 삶의 태도가 다양하듯이 그 사람들을 이끌어가는 리더십 또한 하나일 수 없다. 그러므로 특별히 목회와 관련하여서 다양한 리더십의 형태와 장단점을 연구하는 것은 무척이나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성서에 나타난 리더십의 다양한 형태들을 연구하고 현대 사회와 목회에 가장 적합한 리더십의 형태들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예배의 실제
예배의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이해하고, 실제로 구성해 봄으로써 예배 인도자의 경험과 지혜를 향상시킨다.
미래교회, 미래목회
1. 시대의 변화에 따른 목회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2. 한국교회를 진단하고 그에 따르는 과제를 찾아본다
3. 다가오는 미래교회와 미래목회의 가능성을 타진해본다
4. 미래교회의 목회사역들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본다
5. 목회리더십을 통한 교회와 사회변혁가능성을 점검해본다
6. 목회개혁을 위한 로드맵 road map과 비전선언서를 만들어 본다
7. 21세기를 담는 미래교회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알아본다
8.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대아적인 목회를 모색한다
TOP

목회상담

목회상담학(Introduction to Pastoral Counseling)
미래의 목회자들이 목회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에 슬기롭게 대처하도록 하며, 교우들이 자신의 전인적인 건강을 유지하고 구원의 삶을 살수 있게 도우며, 만남과 관계의 기술, 문제 해결의기술, 위기 중재의 기술, 절망가운데서 희망을 발견해 나가는 방법 등을 배워 목회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목회상담학의 기초과목으로 미래의 목회자들이배워야 할 필수 과목이다.
결혼 및 가족상담(Family & Marriage Counseling)
하나님은 부부와 가정을 창조하시고 돌보신다. 부부와 가족의 행복은 하나님의 중대한 관심사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스도인 교역자들은 어떻게 결혼과 가족을 이해하고 하나님이 약속하신 풍성한삶을 유지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하여 공부한다.
치유와 상담(Healing Ministry and Counseling)
하나님의 구원은 전인적이다. 여기에는 필수적으로 몸의 건강도 포함된다. 기독교적인 입장에서 치유는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 것인가? 이 과목은 치유하시는 하나님이 교회와 목회를 통하여어떻게 사람들에게 임하시며 역사하시는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개인 상담의 실제와 목회(Ministry and Practicum of Individual Counseling)
상담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인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일대일 개인상담의 특성과 상담 내용에 대해서 배운다. 각 개인들이 경험하는 문제들을 상담자가 어떻게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다루며 분석하는지를 다룬다.
집단상담(Group Counseling)
집단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집단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집단 상담의 기본 기술을 습득하고, 집단의 진행과정에 따라 집단을 촉진하는데 필요한 주요 개념에 대해이해하며 그 기법들을 습득하도록 한다. 집단원으로서의 경험과 집단상담자로서 집단을 진행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위기상담(Emergency Counseling)
위기상황에서 처해지는 상담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기초적인 상담기법을 소개하며, 인간이 경험하는 위기의 본질을 연구 조사한다. 또한 상담이론과 기법, 목회상담과 돌봄에 기초한 효과적인상담에 대해서 알아본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인간의 삶에서 발생하는 위기에 대한 성경적, 신앙적, 심리학적, 상담학적인 접근방법을 배우며, 목회자와 목회상담가로서 위기에 처한 자기자신과 다른 사람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다루는 지에 관해서 다룬다.
가정사역과 상담(Family Ministry and Counseling)
오늘날 사회는 가족의 해체현상으로 시달리고 있다. 또한 가족이란 개념과 환경이 매우 급변하게 달라져 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크리스찬 가정 역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과목은가정 상담의 중요한 개념들과 상담 이슈들, 그리고 교회 공동체에서의 적용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영성과 목회돌봄
목회자의 영성이 돌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본다. 영성의 개념을 살펴 보면서, 각 영성의 개념들을 인간의 아픔과 고통과 치유와 희망의 맥락에서 고찰한다.
이상심리학과 목회돌봄
현대 사회와 문화에서 발생하는 감정, 정서, 언어, 행동의 이상 현상들에 대해서 이상심리학을 기초로 살펴보고 분석해 본다. 이와 아울러 교회 현장속에서 어떻게 이런 현상들이 나타나며목회돌봄을 할 수 있는 지 배운다.
신앙과 목회상담
본 과목은 인간의 상처와 절망 그리고 불안 속에서 던지는 기독교 신앙적인 질문들에 대하여 탐색한다. 학생들로 하여금 고통과 문제와 고난에 대한 신학적, 성서적, 영적인 질문들과 과제들을고민하고 목회상담과 목회신학적인 이론과 실천적 돌봄과 상담 방안에 대하여 학습한다.
상담사역과 방법론
이 과목은 상담의 각 단계를 통해서 내담자가 문제를 건설적으로 대처하도록 각 상담 단계의 필수 요소들을 다룬다. 기본적인 상담 단계들, 각 단계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적용들, 그리고심리적이고 신학적인 측정들을 강조한다.
목회적 돌봄과 치유
우리 사회 전반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학대 현상에 대한 사회학적, 심리학적, 신학적 분석, 이해와 함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목회적 돌봄과 치유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TOP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 개론(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 교육의 목적설정과 내용선정의 기초가 되는 사상적 배경을 소개하고 기독교 교육의 교수-학습과정 및 환경, 평가 등에 관한 이론들을 학습한다.
교회교육과 발달심리(Church Education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종교적 성숙과 관련된 인간의 인지적, 정서적, 신앙적, 발달과정을 발달 심리학 이론을 근거로 살펴보고 그에 상응하는 교회 교육을 등을 연구한다.
아동 및 청소년 교육(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s)
아동 및 청소년들의 발달 심리를 이해하고 현재의 사역을 살펴봄으로써 기독교교육의 계획과 실행을 토대를 마련을 위해 연구한다.
교회 교육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Church Education)
기독교 교육의 형태와 방법에 관한 이론을 소개하고 가정, 교회, 학교 및 사회 속에서 실제적 차원에서의 실행 및 효율성을 평가하는 여러 유형의 이론을 학습한다.
 아동 및 청소년 교육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s)
아동 및 청소년들의 발달 심리를 이해하고 현재의 사역을 살펴봄으로써 기독교교육의 계획과 실행을 토대를 마련을 위해 연구한다.
기독교 성인교육(Christian Adult Education)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 교육의 형태와 특징을 신학적, 교육학적, 심리학적 맥락에서 연구한다.
기독교 교육 교수 방법론(Teaching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교회 현장에서 실제로 교육하는 교수-학습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방법을 연구한다.
기독교 교육과정(Process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 교육과정 내용선정과 조직 및 자료 개발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을 체계적으로 소개, 연구한다.
기독교 교육과 커뮤니케이션(Christia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이론에 대한 이해와 교회 교육 현장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활동 간의 상호작용을 검토하고 연구한다.
성서교수학(Bible and didactic)
교회 교육과 미디어(Church Education and Media)
교회 현장에서 다양한 학습자를 이해하고 그 학습자에 합당한 교육 도구를 활용함으로 교회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방법을 연구, 실습한다.
교회학교지도방법론(Teaching Method  in Educational Ministry of Church)
신학입문(Introduction to Theology)
기독교교육학과해석학I(Christian Education and Hermeneutics I)
기독교교육학과해석학II(Christian Education and Hermeneutics II)
기독교교육현장론(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전도와 문화
한국의 문화적 정황을 연구하며, 이를 토대로 복음전도의 신학과 사역 전략을 계발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과목에서는 전도의 개념과 역사및 전도와 관련된 신학적, 문화적 쟁점들을 다루고,문화적 상관성을 갖춘 전도 모델에 대한 사례들도 함께 살펴볼것이다.  아울러 한국적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전도사역을 위한 목회 유형연구와 전도전략을 함께 찾아보고자 논의 할것이다.
장년부를 위한 기독교 교육
본 강좌는 수강생들이 성인기의 발달 심리적, 교육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성년기 교육과정을 구성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성인학습론(Andragogy), 성인 여성과 남성의 심리 이론, 성년기의 발달 과업 이론 등을 살펴보고 이를 참고로 하여 교회 장년부에 적절한 교육 과정을 설계해 보도록 한다.
기독교 교육학과 심리학
기독교교육은 인간의 전인적 성장을 통전적으로 지향한다. 통전적 기독교교육은 전인적 구원과 성숙을 목적으로하여, 인간의 지성, 감성, 영성을 모두 변화의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오늘날실행되고 있는 기독교교육은 부분적이고 편협한 접근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들어내는 바, 본 과목은 인간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를 통해 통전적 기독교교육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인간의심리적 내적 구조, 기억과 학습능력, 행동과 정신의 관계등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은 학습자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케 하며, 지성, 감성, 영성의 균형적 발달을 촉진하는 학습과정을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인간 발달기제를 분석하고, 인간의 발달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피교육자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발달과정에 적합한교육과정을 설계, 실행할 수 있다.
교회 지도자 교육과정
평신도 지도자, 교회학교 교사, 전도사 등 교회의 리더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기본적인 자질이 무엇인지를 영성과 전문성, 두 영역으로 나누어 고찰해보도록 한다.
TOP

선교학

선교신학(Mission Theology)
선교의 성서적 근거, 선교역사, 선교와 문화, 선교와 종교, 선교와 교회, 선교와 봉사, 선교와 여성, 선교와 영성, 선교와 경제, 현대선교신학 등 선교학 전반에 대해 개괄적으로 소개하고중요한 주제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선교의 성서적 기초(Biblical Foundation of Mission)
구약성서의 흐름, 신약성서에서 복음서와 바울 서신, 사도행전 등에 나타난 선교 개념을 알게 한다. 선교의 성서적 근거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선교 개념, 주체, 동기, 목적, 방법 등을이해하도록 한다.
현대선교신학(Contemporary Theology of Mission)
20세기 현대선교운동의 흐름과 그 속에서 형성된 선교신학의 흐름을 국제선교협의회, 세계교회협의회를 비롯한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복음주의 선교신학, 로마 가톨릭 선교신학, 동방 정교회의선교신학, 제3세계선교신학, 오순절교회 선교신학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최근 선교신학 동향(Current Trends of Theology of Mission)
최근의 선교신학적 논의들을 다루되, 선교와 교회, 선교와 문화, 선교와 종교, 선교와 평화, 다원주의 시대의 선교, 선교와 해석학, 선교와 성령, 선교와 영성, 선교와 여성, 도시선교 등주제별로 다루도록 한다.
에큐메니즘(Ecumenism)
20세기 세계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신학을 살펴봄으로써 교회의 교회됨과 하나됨을 통해 인류의 일치, 지구생명공동체의 일치를 지향하는 에큐메니칼 운동을 이해하도록한다.
세계선교역사(History of World Mission)
초대교회, 중세교회, 근대교회, 현대교회의 선교 역사를 선교 주체, 동기, 방법, 목적 등과 관련해 알게 하되 부정적 유산과 긍정적 교훈을 식별하게 한다. 특히 비서구지역 선교역사와아시아 선교역사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한다.
한국교회선교역사(History of Mission of Korean Church)
한국교회의 독노회 조직 후 제주도 선교, 총회 창립 이후 중국 산동선교를 비롯해 외국에 사는 한인을 위한 한인목회로서의 선교, 타문화권 선교, 에큐메니칼 선교동역과 NGO 선교 등의선교역사를 배움으로써 세계선교의 문제와 대안을 찾도록 한다.
세계선교의 동향과 접근방식(Trends of World Mission and Missionary Approaches)
21세기 세계선교 동향을 알게 하되 대륙별로 세계선교의 중요한 특징과 동향을 살피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아시아 선교, 아프리카 선교, 라틴 아메리카 선교 등 지역선교 전략과 이슬람권선교, 불교권 선교, 힌두교권 선교, 사회주의권 선교 접근방식을 살펴보고, 변화된 세계 상황에 적합한 선교 접근방식을 찾도록 한다.
아시아 선교(Asia Mission)
세계종교의 발상지이면서 동시에 가난을 특징으로 하면서도 복음화 비율이 가장 낮은 아시아 선교를 위해 가난과 종교 등 아시아의 특성과 선교 역사를 배경으로 동북아 선교, 인도차이나 선교,동남아 선교 등 지역별로, 문화권별로, 선교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고 변화된 상황에서 새로운 선교 전략을 모색한다.
이슬람권 선교(Islam Area Mission)
이슬람 종교에 대한 연구와 이슬람과 기독교 사이의 관계 연구를 통해 이슬람지역 선교를 위한 배경 지식을 갖추고, 이슬람 선교 현황과 과제, 그리고 변화된 상황에서 21세기 이슬람 선교의새로운 전략을 모색하도록 한다.
북한 선교(Mission for North Korean People)
북한에 대한 직접적 선교가 어려운 만큼 북한선교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을 알게 한다. 중국에 있는 탈북자들과 조선족, 우리나라에 입국한 탈북자들과 조선족을 통한 간접적 북한 선교에 대해현황, 과제와 전망을 살핀다. 교회와 기독교 NGO들이 남북 교류에 참여함으로써 이뤄지는 북한선교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평화통일을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와 한반도에서 이뤄져야 할화해로써의 선교도 모색한다.
이주민 선교(Immigrant Mission)
이주노동자들이 우리나라에 입국한지는 20년이 넘었다. 그들이 서로 간에, 또는 한국인과 결혼하면서 가정을 이루고 자녀를 낳아 이주민이 증가하고 있다. 농촌에서는 결혼이주민의 증가가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세계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변화에 발맞춰 이주노동자 선교, 다문화가족 선교, 결혼 이주민 선교 등 다양한 형태의 이주민 선교의 현황과 과제를 알아보고 대안을 찾도록한다.
선교와 사회봉사(Mission and Social Service)
사회봉사의 시각에서 선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사회봉사신학을 이해하게 하고, 사회봉사와 결합된 선교의 이해를 장애인선교, 실직ㆍ노숙인선교, 이주민선교, 농민선교, 청소년선교, 교정선교,직장인선교, 병원선교, 학원선교 등 다양한 선교 현장에 적용하도록 한다.
전도의 이론과 실천(Theory and Practice of Evangelism)
선교와 전도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갖게 하고, 전도에 대한 성서적 이해를 기반으로 다양한 전도 방식을 배우고 실습하도록 한다.
평화선교(Peace Mission)
치유와 화해에 대한 에큐메니칼 선교대회의 논의를 소개하고, 전 세계 분쟁지역에서 화해를 이루기 위한 세계교회의 노력을 알게 하며, 분단된 한반도에서 한국교회가 평화선교를 이루기 위한과제와 신학을 이해하고 참여하도록 한다.
타문화권 선교(Cross-Cultural Mission)
타문화가 선교사 자신에게, 복음전달을 위해, 선교사와 현지인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문화인류학이 선교를 위해 갖는 중요성과 주요한 이론,그리고 그러한 이론들이 선교사를 위해, 선교를 위해 함의하는 실천적 의미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타문화권 선교에 대해 바르게 준비하도록 한다.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Missionary Life and Ministry)
선교사가 다른 문화권에 가서 겪는 삶과 사역의 실제적 어려움과 문제점들을 이해하고 바르게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선교사로 파송되었을 때 선교사의 임무를 바르게 수행할수 있는 통찰력을 갖추도록 한다.
선교와 지도자 훈련(Mission and Leadership Training)
선교 사역을 감당할 인력의 발굴과 훈련의 원리를 연구한다. 성서와 선교 역사를 통해 드러난 선교 지도자 발굴과 선택, 지도자 훈련 모델을 소개함으로써 교회가 올바른 지도자를 선택하고훈련하도록 한다.
선교지 이해(Mission Field and Practicum)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선교지를 방문하되 사전에 선교지에 대한 전반적 상황을 강의를 통해 이해하고, 선교지 특성에 따라 해외봉사활동을 통하거나(1), 여러 선교사들과의 만남을 통해 다양한선교방식을 배우고, 토론을 통해 장단점을 나눠(2) 선교지 이해를 심화시킨다.
선교운동사(History of Missionary Movement)
초대교회 이후로부터 실시된 선교의 흐름을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그 시대부터 현대까지의 선교운동의 역사적 개관을 구체적으로 고찰함으로서 미래의 선교적 방향성을 설정하게 한다. 특별히 시대별로선교운동의 흐름과 발전을 연구하게 함으로서 학생들로 하여금 구체적인 선교적 방향성을 설정하게 한다.
선교와문화인류학(Mission & Cultural Anthropology)
선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선교지의 문화적 특성과 인류학적 속성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 사항이다. 이 과목은 문화인류학을 선교학적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선교현장을분명하게 인식하고 문화적, 인류학적 측면에서 발생하는 현장의 문제점들을 발견하여 새로운 선교전략을 찾는데 도움을 준다.
특수선교Ⅰ(Specialized Ministry Ⅰ)
급속하게 일어나고 있는 도시화, 산업화, 세계화의 현상속에서 교회가 실행하고 있는 선교의 실태파악과 적절한 선교방안을 모색한다. 도시산업사회의 노동자, 도시 빈민, 사회복지 시설,교도소, 병원과 학원 등 다양한 현장 실습을 통해서 실제적으로 경험하며 포괄적인 전도 방안을 모색한다.
선교현장 연구와 실습(Mission Field & Practicum)
방학 및 휴학기간을 이용하여 선교현장을 방문하고 실습하는 선교훈련으로서 현지를 탐방하기 전에 자신이 방문할 선교지 전반의 상황에 대하여 조사 및 연구함으로서 선교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가지고 선교지 탐방을 실시하도록 돕는다.
견습(학생)선교사 선교현장 실습(Practice of mission field for student  missionary)
기독교 사회봉사신학(디아코니아)
예수 그리스도는 섬김의 종으로 오셨고 섬기는 자로서의 본을 보이셨다. 디아코니아의 신구약 성서적 근거와 함께 서양교회와 한국교회의 디아코니아 역사를 살펴보고, 사회선교와의 관계,에큐메니칼 선교와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의 관계 등 조직신학적 근거까지 소개함으로써 디아코니아 신학의 종합적인 신학적 성찰과 더불어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으로서 실천해야 할영역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섬기는(피에타즈:경건)와 이웃을 사랑하고 섬기는 것(카리타스)의 조화와 균형이 있는 목회철학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다.
디아코니아의 이론과 실제
디아코니아는 실천신학의 중요한 과목 중의 하나이며 교회의 대 사회적 봉사활동에 관한 학문이다. 이 과목은 디아코니아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실천적 접근을 통하여 목회사역에서 교회가구체적으로 어떻게 사회봉사를 실천할 것인가를 연구하게 된다.
선교와 사회봉사
사회봉사의 시각에서 선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사회봉사신학을 이해하게 하고, 사회봉사와 결합된 선교의 이해를 장애인선교, 실직ㆍ노숙인선교, 이주민선교, 농민선교, 청소년선교, 교정선교,직장인선교, 병원선교, 학원선교 등 다양한 선교 현장에 적용하도록 한다.
생명목회1.2
하나님 나라와 생명 운동. 생명 목회와 생명 신학의 의미를 파악한다. 이 과목은 담당 교수와 여러 외래 강사들의 연합 수업으로 진행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