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심리학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in counseling psychology)
- 현재 상담 심리학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이론들을 학습한다. 실제상담에 필요한 미시적 기술을 학습하고 연습한다.
- 집단상담(Group counselling)
- 집단으로 심리적 치유를 이루는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에 대해서 배우고 익힌다. 주요집단상담이론을 학습하고 집단상담의 과정과 기법에 대해서 익힌다. 실제 집단상담 참여를 통해서 학습한 내용을 숙지한다.
- 인지행동상담(Cognitive Behavior Therapy/Counseling)
- 인지행동치료의 이론적 모델과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장면에서 이를 적용하여 사례를 개념화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변화를 위한 다양한 기법들을 소개하고 연습하며, 통합적인 치료모형으로서 인지치료의 활용에 주안점을 둔다.
- 정신역동적 상담(Psychodynamic counseling)
- 정신 분석 및 정신 역동적 치료의 최신 지견과 상호 주관성에 기초한 심리 치료 기법을 다룬다.
- 상담사례분석(Counseling case analysis)
- 다양한 상담사례를 문제별, 이론별로 살펴보면서, 상담개념화, 상담과정과 기법과 관련된 상담의 다양한 측면을 실질적으로 다루는 과목이다.
- 상담과정과 기법(Counseling Process and Skills : An Integral Approach)
- 상담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을 실제 상담장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하고, 각자의 개인적 상담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하도록 돕는다. 또한 상담이론을 실제에 응용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탐색 및 대처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 아동상담(Child counseling)
- 아동상담의 이론적 배경과 접근방법을 고찰하고 아동상담자의 역할과 아동상담의 형태, 내용, 방법 등에 대하여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 부모상담(Parent counseling)
- 임상장면에서 실제 부모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담과정 및 실질적인 상담기술을 습득한다.
- 심리평가 1(Psychological testing 1)
- 성인의 지능과 성격, 적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각종 심리 검사의 특성과 실제적 적용 방법들을 익힘으로써 개인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한다. 심리 평가2에서는 특히 로르샤흐와 MMPI를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 심리평가 2(Psychological testing 2)
- 성인의 지능과 성격, 적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각종 심리 검사의 특성과 실제적 적용 방법들을 익힘으로써 개인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한다. 심리 평가2에서는 특히 로르샤흐와 MMPI를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 이상심리학(Abnormal Psychology)
- 이상행동을 분류 소개하며, 불안장애, 정서장애, 정신분열증 및 성격장애 등의 증후와 원인들을 다룸으로써, 이상심리 및 행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돕는다.
- 학습심리학(Learning Psychology)
- 학습에 관한 행동주의적 접근으로부터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적 접근에 이르기까지 여러 학습이론을 다루면서 인간 학습의 다양한 측면을 개관한다.
-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 인간의 전생애에 걸친 모든 발달적 변화과정과 기제를 다학문적 접근법을 통해 학습함으로써 인간발달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아동기 정서, 행동장애(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of childhood)
- 아동기 정서 및 행동장애의 유형별 원인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관점들을 탐색하고 사례를 통해 유형별 특성을 분석한다.
- 놀이치료(Play Therapy)
- 놀이와 놀이치료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놀이치료의 실제를 익혀 놀이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목회상담학개론(Introduction to Pastoral Counseling)
- 이 과목은 효과적이고 적절한 기독교상담과 돌봄에 대한 기본적이고 신학적이며 영적인 이슈들과 방법론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목회상담의 기능과 비유 그리고 다양한 실제 사례들을 다룬다. 더불어 일반심리학과 심리치료와의 관계들을 연구한다.
- 신앙과 상담(Faith and Counseling)
-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상담 현장에서 신앙이 차지하는 독특성과 역동성을 소개한다. 고통과 상처, 치유와 희망의 본질들을 기독교신학, 전통, 성경 그리고 통합적 상담 접근방법의 맥락에서 연구한다.
- 상담자 자기평가(Self Appraisa)
- 상담자가 내담자뿐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돌보아야 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 과목은 내담자 개인과 가족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종교적, 성적 경향들이 상담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는 지, 그리고 현재 미치고 있는 지 탐구한다.
- 위기상담(Crisis Counseling)
- 위기상황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목회상담학적인 개념들과 기술들에 대해서 소개한다. 인간의 존재와 경험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기의 본질을 배운다. 학생들은 인간의 삶과 교회에서 부딪히는 위기에 대해서 효과적이고 건강하게 대처하는데 필수적인 위기 상담 접근 방법을 탐색한다.
- 상담사역과 방법론(Counseling Ministry and Methods)
- 이 과목은 상담의 각 단계를 통해서 내담자가 문제를 건설적으로 대처하도록 각 상담 단계의 필수 요소들을 다룬다. 기본적인 상담 단계들, 각 단계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적용들, 그리고 심리적이고 신학적인 측정들을 강조한다.
- 상담자 자기평가(Self Appraisa)
- 상담자가 내담자뿐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돌보아야 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 과목은 내담자 개인과 가족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종교적, 성적 경향들이 상담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는 지, 그리고 현재 미치고 있는 지 탐구한다.
- 죽음과 목회상담(Death and Pastoral Counseling)
- 이 과목은 죽음과 비통함을 둘러싼 복잡한 신학적이고 영적이며 심리학적인 이슈들을 다루는 데 강조점을 둔다. 특히, 트로마로 인한 죽음, 아동 죽음, 자살 등과 같은 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들을 다루어야 하는 목회자 혹은 종교 리더들의 돌봄 사역에 대해서 다룬다.
- 갈등전환(Conflict Transformation)
- 이 과목은 개인적, 관계적, 문화적, 사회구조적, 종교적인 차이들과 불공평들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의 본질을 탐구한다. 내담자가 겪는 갈등의 원인과 역동성을 상담자로서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틀을 형성하며, 학생들로 하여금 갈등의 해결이 아닌, 전환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목회상담 세미나(Pastoral Counseling Seminar)
- 목회상담에 대한 최신 이론들과 이슈들을 학생들 스스로 토론하고 분석하며, 대안점을 찾는 과정을 발견하도록 한다. 지식의 습득보다 지식의 응용을 강조하며, 문제와 상처와 치유에 대한 비판적이고 건설적인 시각의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