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상세프로필

김정훈

김정훈

  • 전공구약학(교수)
  • 전화055-320-2540
  • 메일ihoze@hotmail.com
홈페이지

학력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 졸업 (BA)
  •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MDiv)
  • 장로회 신학대학교 대학원 구약학 전공 졸업 (ThM)
  • 독일 Kirchliche Hochschule Wuppertal/Bethel 졸업 (Dr. Theol.)

경력
  •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편집위원, 대한성서공회 성서원문연구 편집위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평양노회 기관목사
  • 부산노회 땅끝교회 협동목사
  • 한국구약학회 회원
  • Member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eptuagint and Cognate Studies
  • 우리말씀연구소(http://www.wooribi.org/ 고유번호: 521-80-00800) 소장

연구실적
저서
  • Kim, Jong-Hoon, Die hebräischen und griechischen Textformen der Samuel- und Königebücher. Studien zur Textgeschichte ausgehend von 2Sam 15,1-19,9, (BZAW 394; Berlin/New York: Walter de Gruyter, 2009).
  • 김정훈 지음, 『칠십인역 입문: 본문의 역사와 연구의 실제』 (유다·그리스도교 고전 입문 총서 I-1; 서울: 바오로딸, 2009).
  • 김정훈 지음, 『시편 묵상. 예술, 문화와 함께 하는 열두 시편 풀이』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2).
  • 김정훈 지음, 『우리말 역본과 함께 하는 호세아 주석』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 김정훈 글/이경면 사진,『순례. 사진이야기와 함께 하는 순례시편 풀이』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 김정훈 지음,『미술관에서 읽는 창세기』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 김정훈 지음, 『구약주석 어떻게 할 것인가? 구약 본문의 이해와 주석을 위한 길잡이』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8).
  • 김정훈 지음, 『시편 렉시오디비나 1. 슈투트가르트 라틴어 시편 채색필사본(Cod. Bibl. Fol. 23) 삽화와 함께 하는 본문과 그림 묵상』 (서울: 새물결플러스, 2021).
  • 김정훈 지음, 『시편 렉시오디비나 2. 시편을 읽고 묵상하기 위한 본문 풀이』 (서울: 새물결플러스, 2021).
  • 김정훈 지음, 『역대기하』 (연세신학백주년기념 성경주석 12;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22).
  • 한국칠십인역번역위원회 지음/김정훈 편집, 『칠십인역 우리말 번역. 필요성과 의미, 하박국서 본문의 실례』 (서울: 감은사, 2024).
  • 김정훈 지음, 『사무엘서. 한계를 가진 인간과 무한한 하나님의 일하심』 (서울: 감은사, 2024).
역서
  • 지크프리트 크로이처, 디터 피베거 지음/ 김정훈 옮김, 『구약성경 주석방법론(프로세미나Ⅰ)』(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1).
  • M. Futato 지음/ 김정훈 옮김, 『구약성서 히브리어 시작하기』(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2/22013).
  • Edward J. Wooden 지음/ 김정훈 옮김, 『신명기』 (틴데일구약주석시리즈 5;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6).
  • Martin Rösel 지음/김정훈 옮김, 『구약성경 입문』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7).
  • 윌리엄 J.덤브렐 지음/김정훈 옮김, 『간추린 구약신학. 이스라엘의 신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8).
  • 크레이그 G. 바솔로뮤 지음/김정훈 옮김, 『전도서 주석』 (베이커 지혜문헌 시편 주석 시리즈 6;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20).
  • 알렉산더 아킬레스 피셔 지음/김정훈,배희숙,차준희,하경택 옮김, 『구약성서 본문: 역사와 본문비평』 (서울: 대한성서공회, 2020).
  • 마틴 J. J. 멘켄·스티브 모이스 편집/우리말씀연구소 옮김/김정훈 책임감수, 『신약성경의 열두 소예언서 사용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21).
논문
  • "Intentionale Varianten der Habakukzitate im Pesher Habakuk - rezeptionsaesthetisch untersucht", Biblica 88 (2007), 23-37 (A&HCI 학술지).
  • "칠십인경 우리말 번역을 위한 연구: 창세기 1,1-2,3절의 예로 (1)" (김근주, 김선종, 김정훈, 우상혁 공저), 성경원문연구 21 (2007), 53-68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칠십인경 우리말 번역을 위한 연구 2: 창세기 1,1-2,3절의 예로 (2)" (김근주, 김선종, 김정훈, 우상혁 공저), 성경원문연구 22, (2008), 94-121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Zur Textgeschichte von Samuel-Koenige an Hand von 2.Sam 15,1-19,9", in: M. Karrer / W. Kraus (Hg.), Die Septuaginta - Texte, Kontexte, Lebenswelten. (WUNT 219; Tubingen: Mohr-Siebeck, 2008), 353-368.
  • "칠십인경 사무엘-열왕기서의 본문 형태와 그 역사", Canon&Culture 5 (2009), 181-210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신명 '샷다이'의 칠십인경 번역에 관한 연구", 부산장신논총 9 (2009), 207-221.
  • "칠십인경 바티칸 사본(Cod. B) 필사자A의 특징: 사무엘하의 본문을 중심으로", 구약논단 34 (2009), 104-125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칠십인경 우리말 번역 방법론 연구: 출1:1-22 본문을 중심으로", 부산장신논총 10 (2010), 31-56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Die Wiedergabe von ebed mit doulos oder pais in der Septuaginta der Samuel- und Koenigebuecher", in: M. Karrer/W. Kraus (ed.), Die Septuaginta: Texte, Theologien und Einfluesse, (WUNT 252; Tubingen: Mohr-Siebeck, 2010), 391-403.
  • "칠십인경 헬라어 구약성경의 기원과 그 영향: '아리스테아스의 편지'를 중심으로", 부산장신논총 11 (2011), 24-47.
  • "The tradition of Ketib/Qere and its relation to the Septuagint text of 2.Samuel", ZAW 123 (2011), 27-46 (A&HCI 학술지).
  • "슈투트가르트 라틴어 시편 채색 필사본(Bibl. Fol. 23) 삽화의 순례시편(시편 120-134편) 읽기", 부산장신논총 12 (2012), 3–30.
  • "8HevXIIgr 하박국 본문을 중심으로 본 헬라/초기 유대주의 시대 히브리어 자음 본문의 형태", 구약논단 46 (2012), 123-150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Text und Übersetzung des griechischen Zephanjabuches", in: S. Kreuzer/M. Meiser/ M. Sigismund (eds.), Die Septuaginta III. Entstehung, Sprache, Geschichte, (WUNT; Tübingen: Mohr-Siebeck, 2012), 155-166.
  • "Zu den Texformen der neutestamentlichen Zitate aus den Zwölfprophetenbuch", in: S. Kereuzer/ M. Sigismund (eds.), Der Antiochenische Text der Septuaginta in seiner Bezeugung und seiner Bedeutung (De Septuaginta Investigationes Vol. 4;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013), 164-178.
  • "Vom hellenistischen Kleinrollensystem zum Kodex: Beobachtungen zur Textgestalt der griechischen Samuel- und Königebücher", in: M. Peters (ed.), XIV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eptuagint and Cognate Studies. Helsinki, 2010, (SCS 59; Atlanta: SBL Press, 2013), 231-242.
  • "레위기 5장14절-26절(6장7절) 본문 연구", 부산장신논총 13 (2013), 3-24.
  • "열왕기-역대기 평행본문의 개역개정판 번역에 대한 소고 -열왕기상 8:1-53//역대하5:2-6:42 평행본문을 보기로-", 성경원문연구 35 (2014), 48-69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칠십인경 연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관한 연구", 부산장신논총 14 (2014),3-24.
  • "Der hebraeischen Textformen der hellenistisch-fruehjuedischen Zeit. Ausgehend vom Habakuk-Text der griechischen Zwoelfprophetenrolle aus Nahal Hever", in: J. M. Robker/F. Ueberschaer/T. Wagner (eds.), Text-Textgeschichte-Textwirkung. FS zum 65. Geburtstag von Siegfried Kreuzer (AOAT 419; Muenster: Ugarit Verlag, 2014), 347-357.
  • "역대하의 열왕기 역사서술양식 수용 형태에 관한 연구", 부산장신논총 15 (2015), 1-21.
  • "열왕기와 역대기 평행본문의 칠십인경 본문 형태에 관한 연구 -열왕기상 8장 1-53절과 역대하 5장 2절-6장 42절을 중심으로-", 구약논단 60 (2016), 10-37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서평> Der Text des Alten Testaments. Neubearbeitung der Einführung in die Biblia Hebraica von Ernst Würthwein (Alexander Achilles Fischer,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09)", 성경원문연구 39 (2016), 448-464.
  • "마소라 본문(MT)과 칠십인경(LXX), 쿰란(Q)의 시편 표제 비교 연구", 부산장신논총 16 (2016), 1-21.
  • "Sophonias/Zefanja", Siegfried Kreuzer (Hg.), Einleitung in die Septuaginta (Handbuch zur Septuaginta Bd.1;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16), 526-529.
  • "Zur Relevanz der Wiedergabe von צדקה mit ἔλεος/ἐλεημοσύνη", in: S. Kreuzer/M. Meiser/M. Sigismund (eds.), Die Septuaginta - Orte und Intentionen (WUNT 361; Tübingen: Mohr & Siebeck, 2016), 510-519.
  • "Die Septuagintaforschung in Korea", The Journal of Septuagint and Cognate Studies (JSCS) 50 (2017), 105-110.
  • "Betrachtung zu den griechischen Textformen der Paralleltexte zwischen 1Kön 8,1-53 und 2Chr 5,2-6,42" in: F. Ueberschaer, Th. Wagner und J. M. Robker (Hr.), Theologie und Textgeschichte. Septuaginta und Masoretischer Text als Äußerung theologischer Reflexion (Thübingen: Mohr Siebeck, 2018), 153-170.
  • "마소라 본문 케티브/케레 전통의 본문비평적 성격 고찰. 자음 중복과 중자 탈락, 유사 자음 차이의 보기를 중심으로", 성경원문연구 43 (2018), 184-208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마소라 본문 케티브/케레 전통의 고유명사 차이에 대한 개역개정 음역 고찰, 음위전환과 바브/요드 차이를 중심으로", 성경원문연구 44 (2019), 46-73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김동란, 김윤희, 김정훈 (공저), "영성훈련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Lectio Divina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2 (2019), 251-292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구약성경의 장애인 관련 용어의 분류와 그 의미 분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2(2019), 7-38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쿰란 시편 필사본(11Q5)의 본문 형태 분석", 성경원문연구 48 (2021), 72-92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신명사문자(Tetragrammatin) 번역으로 본 칠십이역 사무엘-열왕기 본문의 형태", 구약논단 80 (2021), 76-100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 “사무엘-열왕기//역대기 평행본문 번역의 상호독회를 위한 제언”, 「성경원문연구」 50 (2022. 8), 27-36.
  • “집회서 영웅 찬양시 본문 전통에 관한 연구: 다윗 찬양시(집회서 47장 2-11절)를 보기로”, 구약논단 92 (2024), 76-105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연구 프로젝트
  • 한국연구재단 신진교수연구지원(인문사회분야)
    - 과제: "열두 소예언서 신약 인용 본문에 관한 연구"
    - 연구기간: 2010년 5월 ~ 2012년 4월(2년)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 사업(인문사회분야)
    - 과제: "역대기와 그 평행본문의 이형(異形)에 대한 분석 및 분류"
    - 연구기간: 2014년 5월 ~ 2015년 4월(1년)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 사업(인문사회분야)
    - 과제: "마소라 본문의 케티브/케레 전통이 갖는 본문 비평적 가치에 대한 연구"
    - 연구기간: 2015년 5월 ~ 2017년 4월(2년)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 과제: 쿰란 성경 본문 형태에 대한 분석적 연구
    - 연구기간: 2017년 7월 ~ 2019년 6월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 과제: 쿰란 시편 필사본(11Q5)의 본문·편집비평적 연구
    - 연구기간: 2020년 7월 ~ 2021년 6월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 과제: 집회서 "영웅 찬양시"(집 44:1-50:12)와 구약 평행 전승의 비교 분석 연구
    - 연구기간: 2021년 7월 ~ 2022년 6월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 과제: 사무엘-열왕기의 구약성경 평행 본문 우리말 성경 번역 연구
    - 연구기간: 2022년7월~2024년6월(2년)
  •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 과제: 사무엘서 본문 형태에 따른 히브리어/그리스어 본문 이형 분석
    - 연구기간: 2024년6월~2026년5월(2년)

Copyright(C) 2015 BUSAN PRESBYTERIAN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