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장신대 > 대학 > 신학과 > 교과목해설

교과목해설

부산장신대학교 신학과 교과목해설 안내입니다.

구약

구약성경읽기 (Reading of the Old Testament)
구약 성서 전체를 한 학기동안 읽는 것을 주 목표로 삼는다. 단순한 독서가 아니라 신학적 의문과 문제제기와 함께 성서를 읽어 나가며 앞으로 신학함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구약학 입문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구약성경 이해를 위해 구약학이 다루는 분야에 대해 배우고, 구약성경 전체를 개관한다.
이스라엘의 역사 (History of Israel)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를 주변 국가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성서를 중심으로 개관하고 역사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메시지를 배운다.
히브리어문법 (Bible Hebrew Grammar)
구약학 연구의 기초가 되는 성서(고전)히브리어의 기초 문법을 배우고 빈도수 높은 단어들에 친숙하게 한다. 문법을 배운 후 히브리 성서의 한두 장을 강독하면서 문법을 간략하게 정리한다.
구약성경과 미술 (Old Testament in Art)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양미술의 역사는 기독교 미술이 주를 이루었다. 이런 기독교 미술을 비롯한 서양미술을 개관하고, 개신교회에서 다소 소홀한 기독교 미술을 구약성경과 관련하여 해석하여 본문이해의 폭을 넓힌다.
구약성경과인문학 (Old Testamentand Liberal Arts)
텍스트는 컨텍스트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오늘날 컨텍스트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를 통해 구약 텍스트를 읽어 봄으로써 구약성경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구약성경과 유대교이야기 (A Story of Judaisms and the Hebrew Bible)
구약성경과 유대교이야기  구약성경(히브리성경)은 기독교와 유대교의 뿌리가 된다. 유대인들의 눈으로 보는 구약성경과 기독교인의 시각으로 보는 구약성경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구약성경과 유대교이야기에 초대한다.
구약원전강독 (Hebrew Reading)
성서히브리어 문법을 수강한 학생들이 직접 히브리어 원전을 읽을 기회를 제공한다. 친숙한 산문 및 운문 텍스트를 약 10장 가량 읽는다. 또한 히브리어 성경(BHS)을 다루는 방법을배운다. 곧 마소라와 비평장치를 어떻게 읽고 활용하는가를 배운다.
TOP

신약

복음서와 사도행전 (Gospels and Acts)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사역과 교회의 초기 역사를 다루는 신약성경의 근간이다. 복음서 각 개별 책들의 기록 목적과 내용에 대한 간결한 소개와 사도행전 속의 사도들의 활동을 각종 서신서와 연관하여 설명한다.
바울서신 (Paul's Letters)
신약 27권 가운데 절반 이상의 책이 바울의 이름을 표방하는 편지 양식으로 기록되어 있을 만큼 신약에서의 바울의 위치는 절대적이다. 바울의 각각의 편지들에 대한 전체적 윤곽을 잡고 아울러 그 편지들 가운데 내재된 바울의 생애와 신학과 사상을 조명한다.
공동서신 (General Epistles)
각 공동서신의 메시지와 삶의 정황을 이해하여 각 서신이 담고 있는 독특한 메시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전승들의 사용 및 발전, 새로운 신학적 주제와 교회 제도의 발전의 자취를이해함에 그 목적이 있다.
신약의 배경 (New Testament and Greek-Roman World)
신약 성서의 배경이라 할 수 있는, 신구약성서의 중간사(中間史)를 포함하는 1세기 전후의 헬라-로마 그리고 유대 사회의 정치 사회적 정황과 종교적 운동 그리고 생활상이나 관습 등을연구하고 그것이 초대 기독교에 미친 영향들을 다루어서 신약 성경에 대한 피상적 이해를 극복한다.
신약성서의 그리스도 (Christology in the New Testament)
신약성서의 각 복음서와 바울서신, 요한문서에 나타나는 그리스도 예수에 대한 다양한 고백과 그러한 고백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구체적인 본문을 통해 살펴본다. 이러한 접근은 조직신학의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독론적 이해와는 다른 시각과 의미를 제공함으로써 조직신학의 기독론과의 대화의 장을 열어줄 것이다.
신약성서 헬라어 (New Testament Greek)
신약 성서의 석의에 필요한 원어적 이해와 접근에 도움이 될 기초 헬라어 문법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요한문서읽기 (Johannine Writings)
요한복음과 요한서신들을 함께 묶어서 요한공동체의 신학과 역사적 정황을 살핌으로써 요한공동체의 독특성과 그 역사적 발전의 자취를 카톨릭 교회와의 관련 하에 조명하고자 한다. 요한문서에 대한이해는 공관복음서의 신학적 이해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며 이러한 이해는 신약성서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복음서 신학 (Theology of Gospels)
마태, 마가, 누가, 요한복음 각 개별 책들의 주요한 신학적 강조점들을 본문과 실례를 들어 설명하고 특히 제자도와 연관하여 필수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을 심화시켜 설명하고, 목회현장과도연계 고찰한다.
TOP

조직신학

신학으로 본 문명과 역사 (Theology and Civilization)
인류의 문명과 역사의 대표적인 사건과 업적을 그 해석들과 아울러 신학적 관점에서 살핌으로써 바람직한 미래사회의 방향을 모색함
교회사역과 신학 (Theory and Practice in Ministry)
지역사회 목회사역에 도움이 되도록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제기되는 신학적 문제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바탕으로 구성된 강의
신조로 본 조직신학 입문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사도신경의 수서를 따라 신학의 신앙고백적 기초와 학문적인 체계를 이해하게 하며 그 주된 주제들에 대한 교리적이고 사유적인 흐름에 대한 개괄적 지식을 얻게한다.
자연과학과기독교신앙 (Natural Science and Christian Faith))
20세기를 흔히 기술문명의 시대라고 한다. 이런 자연과학 중심적인 시대상이 인류에게 주는 삶과 미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전망을 모색한다.
기독교사상사1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Ⅰ)
기독교 사상과 신학을 역사적 관점에서 일별한다. 기독교사상사Ⅰ은 종교개혁 이전까지의 신학과 교리의 사상적 흐름을 살피고 오늘날의 교회적 삶과 신학적 의미를 묻는다.
기독교사상사2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Ⅱ)
기독교 사상과 신학을 역사적 관점에서 일별한다. 기독교사상사 Ⅱ는 종교개혁부터의 신학과 교리의 사상적 흐름을 살피고 오늘날의 교회적 삶과 신학적 의미를 찾는다
개혁신학입문 (Reformed Theology)
루터와 칼빈을 위시한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의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 핵심과 사회적 영향사를 중심으로 개혁신학의 주된 특성을 조망하고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을 탐문한다.
영어신학읽기 (Theology Readings in English)
신학 관련 영어 문헌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키움으로써 영어로 된 신학 원전들을 자신 있게 읽을 수 있게 한다.
포스트모더니즘과기독교 (Postmodernism and Christianity)
포스트모던 시대가 도래 했다고들 말한다. 이 시대현상의 주된 특성들을 알아보고 그것이 오늘과 내일의 한국 교회와 신학에 의미하는 바를 같이 연구한다.
세계종교와기독교 (World Religion and Christianity)
세계의 각종 종교들은 진리의 문제를 두고 경쟁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종교전쟁은 인류사의 가장 심각한 문제이다. 종교들의 가치와 의미를 종교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신학적으로 검토한다.
TOP

교회사

교회사 입문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Christianity)
교회의 역사와 시학을 다룬다. 불확실한 세상에서 신실한 삶을 살았던 신앙인들의 삶과 신앙고백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찾아본다.
교회사 리더십 (Leadership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현대교회사에 나타난 신실한 신앙인들의 삶과 신앙고백을 통해, 오늘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의 의미와 우리 시대의 참된 기독교지도자의 모습을 찾아본다.
한국교회사 인물연구 (Faith Christians in Korea)
한국교회의 역사에 나타난 신실한 신앙인들의 삶과 신앙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찾아본다.
한국교회사 성지순례 (Holy Places in Korea)
"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다" 라는 교부 터툴리안의 고백의 의미를 한국기독교의 성지들에 대한 순례와 연구를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강의와 함께 직접성지를 방문한다.
이단바로알기 (Christian Heresie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한국 교회와 사회는 공신력 있는 이단연구와 효과적인 이단대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수업의 목적은, 이단들의 교리, 포교전략, 피해사례 등을 연구하고,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TOP

실천신학

예배와 설교 (Worship and Sermon)
복음을 삶으로 실천하는 예배적 상황과 복음을 전하는 설교의 구성과 전달방법을 이해하고 사역에 적용하도록 한다.
청소년을 위한 설교 (Preaching for Youth)
한국교회의 현실은 신학도들을 교육지도자로 나서도록 부르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들과 유, 초등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설교 사역의 실천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격적인 설교학 연구에들어서기 전의 신학도들이 청소년을 염두에 둔 설교의 기초 이론과 실제를 효과적으로 이해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경과 설교 (Bible and Sermon)
현대의 다양한 문화 환경 속에서 성경적인 주제와 전달 방법을 찾을 수 있는 성경적 설교를 배운다.
TOP

선교학

선교이해 (Mission)
선교에 대한 개관적인 접근으로서 선교의 개념, 선교의 역사, 성경적 선교의 방법론 및 현대선교의 방향 등 선교의 전반에 관한 개론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세계선교역사 (History of World Mission)
신구약 성서에 나타난 선교의 성서적 근거를 개관함으로써 신구약 성서 전체 흐름에 부합되는 선교 이해를 갖도록 한다. 성서에 근거한 선교 주체와 목적, 선교 동기와 방법 등을 연구한다.
다문화사회와 이주민선교 (Immigrant Mission)
이주노동자들이 우리나라에 입국한지는 20년이 넘었다. 그들이 서로 간에, 또는 한국인과 결혼하면서 가정을 이루고 자녀를 낳아 이주민이 증가하고 있다. 농촌에서는 결혼이주민의 증가가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세계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변화에 발맞춰 이주노동자 선교, 다문화가족 선교, 결혼 이주민 선교 등 다양한 형태의 이주민 선교의 현황과 과제를 알아보고 대안을 찾도록한다.
성서와 선교 (Bible and Mission)
신구약 성서에 나타난 선교의 성서적 근거를 개관함으로써 신구약 성서 전체 흐름에 부합되는 선교 이해를 갖도록 한다. 성서에 근거한 선교 주체와 목적, 선교 동기와 방법 등을 연구한다.
TOP

목회상담

목회상담학 (Introduction to Pastoral Counseling)
미래의 목회자들이 목회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에 슬기롭게 대처하도록 하며, 교우들이 자신의 전인적인 건강을 유지하고 구원의 삶을 살수 있게 도우며, 만남과 관계의 기술, 문제 해결의기술, 위기 중재의 기술, 절망가운데서 희망을 발견해 나가는 방법 등을 배워 목회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목회상담학의 기초과목으로 미래의 목회자들이배워야 할 필수 과목이다.
영성과 상담 (Spirituality and Counseling)
이 과목은 신학적 관점에서의 올바른 기독교 영성이해와, 심리학적 관점에서 현대 상담에 대한 통전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로써 영성을 추구하는 종교와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심리학의 공통현상을 발견하며 영적 성숙과 전인적 성숙의 하나됨을 꾀하고자 한다.
용서와 목회상담 (Forgiveness and Pastoral Counseling)
용서는 많은 교인들과 내담자 사이에서 자주 직면하게 되는 주요 개념이다.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용서의 다양한 정의와 과정 그리고 용사와 치유 모델들을 소개하며 용서가 주는 치유의 역할을 좀 더 심도 있게 이해하고 탐색하도록 한다.   
종교심리학 (Religious Psychology)
여러 가지 종교적 경험의 심리적 해석, 연령층 별로 나타나는 문제 및 종교생활에 관계되는 문제 등을 심리학적으로 연구하되 특히 믿음, 갈등, 개종, 기도, 예배, 신비주의 등에 대한심리학적 해석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TOP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학 입문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육학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학문적 특수성을 파악하며, 철학, 신학, 심리학 등 다른 학문의 제 이론들과 각 이론이 제시하는 독특한 인간이해가 기독교교육학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연구한다.
전생애 기독교교육 (The Life Cycle and Christian Education)
신앙발달은 전생애를 통한 지속적 성장과정이어야 하며,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영역을 포괄하는 전인적 성숙의 과정이다. 수강생들은 학습자가 처한 다양한 환경과 발달과정상의 과업을 반영한효과적인 기독교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기독교인성교육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본 과목은 세속적 가치를 극복하고 대안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독교적 정서-인성함양 교육을 실행하여 공교육 기관에서의 인성교육의 한계점을 보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수강생들은 본 강좌를 통해 기독교 공동체가 교회-가정-지역사회 간 유기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협력체계를 강화함으로써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인성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한다.
교육과정론 (Curriculum Theory and Christian Education)
다양한 교육과정 이론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각 교육과정이론이 제시하는 나름의 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기독교교육과정을 보다 깊이있게 탐구한다. 본 강좌를 통하여 수강생들은체계적으로 교육과정 구성을 구성하고 교육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기독교교육현장과실천신학방법론 (Practical Theological Method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근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실천신학의 학문적 발달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실천신학방법론을 탐구한다.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교회가 접하는 구체적인 문제들을 다양한 실천신학 연구 방법에 따라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찾아본다.
TOP

기독교윤리

기독교윤리입문 (Introduction to Christian Ethics)
기독교윤리란 우리의 삶(신앙)을 하나님의 계시의 빛에 비추어서 반성하고 계획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본 강의는 구체적인 신앙과 삶의 관계를 신학, 철학, 사회학 등의간학문학(inter-disciplinary) 연구를 통하여 접근하여 분석함으로써 더욱 바람직한 신앙 및 삶의 모형을 모색하려는 시도들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초반에는 기독교윤리학의성격규명과 과제에 관심을 모을 것이다.
종교개혁사상 (Thoughts of Reformation)
종교개혁운동에서 성공을 거둔 관헌적 개혁가들(루터, 칼뱅 등)의 사상을 윤리적으로 재평가하고 종교개혁사상에서 저평가되거나 주목받지 못하고 나아가 박해까지 받은 소위 급진(radiacal) 또는 주변부 개혁가들(토마스 뮌처, 에라스뮈스, 카스텔리옹, 메노 시몬스 등)의 사상을 재조명함으로써 위기에 처한 한국 개신교의 윤리적 비전을 모색한다.
기독교성윤리 (Christian Ethical Understanding on Sexuality)
성서적 섹슈얼리티를 문헌적으로 검토하고, 인문학의 주요 성담론을 공부함으로써 기독교윤리적 성담론의 공론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윤리신학사상 (Thoughts on Ethical Theology)
19세기 도덕신학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에서 칸트 철학이 끼친 영향을 논구하고 19, 20세기 윤리적 신학의 전개 양상을 시대를 대표하는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TOP